리허설
엘리너 캐턴 지음, 김지원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설의 주요 요소에 대해 얘기하므로, 아직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은 주의 바란다.

‘리허설(The Rehearsal)’은 선생과 학생의 섹스 스캔들을 소재로 한 엘리너 케턴의 장편 소설이다.

선생과 학생의 관계, 더 나아가 섹스 스캔들은 언제나 관심을 끄는 것이기는 하지만, 사실 그간 많이 써서 식상한 소재인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이 소설엔 ‘독창적’이라는 수사가 붙는다. 왜 그럴까.

이 점은 처음 몇 장을 넘기면 슬슬 느끼게 되고, 중반을 넘어가면 놀랍게 느끼게 된다.

작가는 이 소설을 단순한 섹스 스캔들 이야기로 쓰지 않았다. 오히려 이 주요 소재는 곁다리에 불과하다고 해도 좋을 정도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을 풀어내는 방법이다.

가장 크게 눈에 띄는 것은 현실과 연극이라는 두 축이다. 이 둘은 서로 번갈아 나타나며 서로를 보완해 주기도 하면서, 또한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먼저, 월 구분과 요일 구분으로 나뉜 이 두 축은 각각이 서로 다른 인물과 시선을 가짐으로써 다른 쪽에서 미처 다룰 수 없었던 내용을 다루면서 서사를 채워준다. 게다가 각 구분이 모두 시간의 전후가 있는 단위인 걸 이용해서 순서대로 얘기하지 않고 중간에 다시 이전 시제의 이야기를 한다든가 하는 트릭도 사용한다. 여기까지만 해도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무난한 소설이 되었을 거다. 그런데, 작가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작중 사건을 연극으로 재현한다는 요소를 집어넣고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연극과 섞어 버림으로써 작중 현실과 연극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어 버렸다.

덕분에 등장인물들은 단일 캐릭터를 갖는 인물들이 아니게 됐고, 소설 속 이야기는 소설 속 현실을 서사하는 것만이 아니게 됐으며, 등장인물들의 대사와 생각, 행동은 실재와 허구, 즉 연극이 뒤섞여 뭐가 소설 속 실제를 서술한 것인지, 뭐가 소설 속 연극을 표현한 것인지 모호하게 됐다.

여기서 작가를 한 번 더 칭찬하고 싶은 건 이런 전개로 갔을 때 많은 작가들이 빠지는 유혹, 즉 소위 ‘열린 결말’이라고 포장하는 ‘나 몰라라’ 식으로는 끝내지 않았다는 거다. 최소한 무엇이 연극의 일부이고 무엇이 현실의 이야기인지를 분명하게 드러냈다. 또, 두 이야기가 모두 ‘소설 속 현실’을 담고 있는 것임도 분명히 한다. 하지만, 여전히 연극 부분은 ‘현실을 기반으로 한 허구’라고 봐야 하며 그러므로 독자는 끝내 ‘진짜 일어났던 일’이 무엇인지는 알아낼 수 없다. 마지막 장면에서 빅토리아가 호기심에 가득 차 하는 대사는 또한 독자의 대사이기도 한 셈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작가가 명확한 답을 주지 않는데, 대신 어떤 방향성을 가진 것인지는 작품을 통해 드러낸다. “지금 이 시기는 나중에 올 모든 것에 대한 리허설”이라거나 “‘진짜’처럼 보이기만 하면 돼”라거나, “상상할 수” 있길 바란다는 식의 문장이 그렇다.

결론적으로, 첫인상과는 달리 소재나 내용 자체만 보면 별 특별할 것은 없었으나, 그걸 흥미롭게 풀어냈으며 소설로서의 기교도 좋았다.

10대의 허세와 정신적 불안정성, 그리고 성적 호기심과 대인관계 등을 어떻게 담아냈는지 따위는 접어놔도 흥미와 재미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인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