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와 물거품 안전가옥 쇼-트 8
김청귤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와 물거품’은 인어공주를 모티프로 동성애와 여성문제를 담아낸 소설이다.



안전가옥 쇼-트 시리즈의 여덟 번째 작품인 이 소설은 안전가옥에서 주최한 2019년 여름 원천 스토리 공모전의 수상작이기도 하다. 그걸 약 1년 6개월에 걸쳐 인어공주를 모티프로 한 이야기로 개작함으로써 이렇게 하나의 소설로 완성이 된 것인데, 아쉽게도 그 결과가 썩 좋지만은 않다.
주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의 바란다.

먼저 이야기가 그리 재미있지 않다. 인어공주를 다르게 그린 것은 나름 신선하다 할 수 있으나 그것은 단지 마녀와 인어공주의 관계라던가 하는 아주 사소한 부분일 뿐, 딱히 모티프라고 하지 않아도 될만큼 둘의 연관성은 적으며 환생을 반복하며 계속해서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구도를 갖고있기 때문에 이야기는 크게 흥미를 끌지 못한다.

환생을 반복하면서 이들의 환경이나 생각 등이 조금씩 변해가는 것도 그리 잘 묘사되지 않았다. 이전의 시행착오로 인해 다르게 행동하는 듯이 그리기보다는 단지 환생으로 인해 달라진 점들이 있고 그래서 단지 그런 길을 가지 않은것처럼 퉁치기 때문이다. 환생은 이런 이들의 매 회마다 달라지는 기조를 간편하게 넘길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기는 하지만, 또한 그 때문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악수이기도 하다.

이야기가 아쉬운대신 그럼 메시지는 확실하게 담았느냐. 그것도 썩 그렇지 않다. 소설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것은 두가지로, 동성애(특히 레즈비언)와 여성문제이다. 저자는 소설에서 그것을 단지 갈등을 극단으로 치닫게 하는 장치로 단순하게 사용했다.

심지어 이것들이 여전히 사회에 퍼져있는 그런 시선들을 비판하는 것이라고도 하기 어려웠던 게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보이는 태도 등이 지나치게 편협하고 치우쳐져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걸 매회마다 똑같은 방식으로 반복해서 보여주는데, 이건 그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기보다는 억지스러움을 느끼게 하며 피로감 역시 느끼게 한다.

이런 문제들은 이야기의 마지막으로도 그대로 이어진다. 대체 왜 그런 선택을 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운데, 심지어 그 선택은 그들을 그렇게 몰아세웠던 사람들의 말이 결국엔 옳았다는 것인지 당황스럽게 하기 때문이다. 결국 중요한건 개인의 마음과 의지가 아니라 사회적인 위치와 책임이라고? 여자이기 때문에 당했다고? 그럼에도 무녀는 너희를 위해 희생한다고?

마치 개인적인 생각과 감정, 이야기가 일기에 토해낸 듯 녹아있는 면모는 지나치게 치우쳐진 마을사람들의 이해하기 어려운 모습들과 섞여 저자가 당초 하려고 했던 것 같은 메시지마저 흐리게 만든다.

이야기 자체는 애초부터 어느정도 의도하고 쓴 것인 듯한데, 차라리 짧막하면서도 확실했던 원래 단편의 것이 훨씬 나아보인다.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