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책
니나 게오르게 지음, 김인순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니나 게오르게(Nina George)’의 ‘꿈의 책(Das Traumbuch)’은 코마(coma)를 소재로 삶과 죽음, 사랑과 화해 등을 그린 소설이다.

소설은 예기치 않은 사고로 코마(coma)에 빠진 남자 헨리와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총 46일간의 이야기를 담고있다.

저자는 그걸 각 인물의 시선으로 옮겨가며 기술했는데, 그를 통해 각자의 사연과 생각 등에 좀 더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들의 이야기는 참 기구하다. 이들에겐 아직 채 아물지 않은 상처같은 것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샘은 이제껏 한번도 아빠와 함께하지 못했으며, 에디는 연인에게 기껏 사랑을 고백하고나서 오히려 거부당해 헤어져 괴로운 날을 보내야 했다. 헨리에게 매인 게 있는 셈이다.

그래서 그게 이제는 좀 잦아질때 쯤 이런 일이 찾아온 게 에디에게 마뜩잖을 수 밖에 없다. 그래도 애증이 남았는지 아빠라며 찾아오는 샘이 눈에 밟혀 챙기고, 그에게 예전 자신이 알던 헨리의 얘기를 해주기도 한다. 그리고 우연한 만남이 이어지면서 매였던 것들도 풀어나가게 된다.

현실 외에도 꿈속의 이야기를 함께 하는 이 소설은 의외로 현실적과 판타지의 격차가 꽤 큰 편이다. 현실의 모습을 생각보다 훨씬 현실적인데, 꿈 속은 대체 어떤 세계인지를 쉽게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몽환적이어서다. 그래서 이 둘이 썩 잘 섞이지 않는 느낌이다.

과연 꿈을 통해 보고 겪는 것들을 현실로까지 가져올 수 있을까. 나라면 꿈을 꾸었다고 하고 그칠 것 같아서 쉽게 공감은 안된다. 차라리 사변소설 대신 대놓고 판타지였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다보니 특별한 능력을 지닌 샘도 좀 붕 뜬 느낌을 준다. 안그래도 현실의 다양한 것들을 색으로 느끼는 공감각자라 그 표현이 잘 와닿지 않는데, 혼자만의 세계에 있는 듯한 이야기도 뭔가 싶고, 매디를 대하는 것도 좀 뜬금없었다.

문장도 썩 잘 익히진 않는다. 당장 ‘감각 백치’가 대체 뭐냐; 꿈속 이야기들도 문화가 달라서인지 쉽게 와닿지 않고 몇몇은 난해하기까지 하다. 앞서 ‘쉽게 상상하기 어렵다’고 했는데, 거기엔 이런 이유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