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대 갑부 역관 표정있는 역사 1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도 그렇지만 교통수단이나 연락망이 발달하지 않은 과거에도 나라와 나라 간에 서로 물건을 매매하는 국제 무역이 중요시되었다. 이러한 국제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얻은 상인들도 있었지만, 역관이라는 특수한 계층도 존재했다.

책의 내용에 따르면 역관이 언제부터 나타났는지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고려 시대 때 명나라에 지배를 받기 시작하면서 제도화되었다는 게 정설이라고 한다.


그 이전까지도 다른 나라들과 교역이나 외교를 할 때에 동행하던 통역사가 있었지만, 삼전도의 굴욕을 말미암아 몽골의 영향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자, 몽골어에 능숙한 인재가 많이 필요하게 되었고 더욱 전문적인 통역사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외국어 능력이 뛰어난 오늘날의 외교관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역관(譯官)이라는 제도를 구축했다고 한다.

역관이 되기 위해 치러야 하는 시험 과목은 기본적으로 1개의 외국어에 다른 외국어를 추가로 배우고 소경,논어와 같은 책들 또한 시험을 봐야 했다고 한다. 지금도 마찬가지로, 한 개의 외국어도 완전히 습득하기 어려운데, 다른 외국어도 추가로 공부해야 했고 시험도 봐야 했으니 쉽게 할 수 없었던 일이었던 것이 알만 한다.


이들은 중국,일본 북쪽으로는 거란,여진과 회담을 하러 가는 사신들의 통역으로서 동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국제무역으로 막대한 부를 쥐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그들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져 가면서,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먼저 눈을 뜨고 성리학이라는 낡은 학문에 얽매여 있는 조선의 상황을 냉철히 분석하고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결국, 이러한 노력이 빛을 보지 못하고 사라졌지만, 넓은 눈을 가지고 바뀌어 가는 시대 상황을 마주하는 자세는 우리 현대인들이 배워야 할 인생의 큰 가르침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