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캐릭터와 스토리가 보장된 소설을 바탕으로 영화를 만들고, 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소설이 다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현상을 일컫는 '스크린셀러'는 올해도 영화계와 출판계를 아우르는 화두입니다. <레디 플레이어 원>, <7년의 밤>, <지금, 만나러 갑니다>,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등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들이 극장가를 수놓고 있는데요. 그중 동성애를 소재로 한 작품 <콜 미 바이 유어 네임Call me by your name>이 누적 15만 관객을 동원하며 사랑받고 있습니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은 동명의 소설 『Call me by your name』을 원작으로 한 영화입니다. 국내에서는 『그해, 여름 손님』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지요. 17살 소년과 24살 청년의 사랑을 그린 퀴어 로맨스 작품입니다. 한여름 뜨거운 태양 아래 무르익는 두 사람의 감정은 “네 이름으로 나를 불러 줘. 내 이름으로 너를 부를게.라는 대사로 절정에 달합니다. 첫사랑의 풋풋함을 담은 작품이니 퀴어 장르의 『플립』이라고 해도 다르지 않겠습니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처럼 동성애를 다루고 있는 21세기 가장 슬픈 이야기, <브로크백 마운틴>을 자연스럽게 떠올리셨을 겁니다. 애니 프루의 원작 소설 「브로크백 마운틴」을 영화화한 이 작품은 동양인 최초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은 이 안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고 제이크 질렌할과 히스 레저가 호흡을 맞춰 오스카 상과 골든글러브 상을 휩쓸었지요.


 


쏟아지는 여름 햇살과 에메랄드빛 바다로 '그해 여름'의 열정을 보여 주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과는 달리 <브로크백 마운틴>은 거칠고 황량한 대자연 속에서 억눌리는 인물들의 감정을 보여 줍니다.  에니스의 잭, 맹세할게…라는 대사는 20년에 걸친 이 복잡하고도 집요한 사랑에 애절함을 더합니다.

극장으로 간 퀴어 소설 『그해, 여름 손님』과 『브로크백 마운틴』은 같이 동성애를 다루면서도 그 궤를 달리하는 작품입니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여전히 심금을 울리는 명작,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과 함께 원작 소설 『브로크백 마운틴』을 읽고 그 차이를 음미해 보는 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아동문학인협회(회장김원석)가 <한국아동문학인협회보> 2018년 봄호(96)를 발간했다이번 회보에는 연간집 발간문학 기행문학 세미나 등 2018년도 한국아동문학인협회 사업 계획이 상세히 실렸으며, 2108년 1/4분기 우수작품상 수상자가 발표되었다분기별로 발표된 회원 작품들 중에서 동시와 동화 각 1편을 뽑는 우수작품상의 수상작으로는 김용희 동시 경운기, 이은 동화 꼭두닭이 각각 선정되었다
  
황소 대신 들여와서 /손발을 맞춘 경운기 //할아버지 따라 /그새 나이를 먹더니 //털 털 털 /힘겨운 숨소리 /내리막도 소걸음 //“아즉멈춰 서지 않고 /힘쓰는 것이 어디여!” //등을 쓰다듬는 /할아버지 손길에 //툴 툴 툴 /가쁜 숨 몰아쉬며 /오르막도 거뜬히
-김용희경운기」 전문 
  
동시 부문 수상작은 단순히 지난칠 수 있는 삶의 모습을 판타지 기법으로 처리한 역발상과 차디찬 기계에 담아 놓은 시인의 따뜻한 감성이 돋보이는 동시라는 심사평(심사위원이성자)을 받았다. 

한편, 동화 부문 수상작 이은의 
 꼭두닭은 '(어린 독자들이) 세상의 여러 감정과 삶의 궤적을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고 그것이 동화를 통해서라면 더욱 좋겠다 싶어 우수작으로 선정했다'는 심사평(심사위원: 박마루)을 받았다(*한국아동문학인협회 관련 문의: 02-440-16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말 우리와 상관없는 딴 세상의 이야기일까요? 

어느 날 갑자기 친한 친구들과 헤어져 영영 볼 수 없게 된다면 얼마나 슬플까요? 여기 이 그림책의 주인공은 엄마 손에 이끌려 갑작스럽게 정든 집을 떠나야만 했습니다. 게다가 먼 길을 걷고 또 걷고, 낯선 사람들 틈에 끼여 잠을 자고, 처음 보는 음식을 먹어야만 했지요. 그런데 세상에는 이처럼 힘겨운 생활을 하는 아이들이 정말 많답니다. 시리아·미얀마·아프가니스탄·수단·콩고 등 세계 곳곳에서 지금도 하루 평균 2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피난길에 오르고 있지요.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난민 문제를 먼 나라 이야기라고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도 6·25전쟁 당시 많은 피난민들이 극심한 고통을 받았으며, 다른 나라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극복해 낸 경험이 있는데도 말이에요. 이 그림책의 주인공은 자신이 ‘난민’이라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이름으로 불리기를 원치 않습니다. 여러분과 마찬가지로 ‘민준·서연·도윤이’ 같은 정겨운 이름으로 불리기를 원하고, 또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지요. 우리 함께, 그들의 간절한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기로 해요.



* 『내 이름은 난민이 아니야』 신간 서평단 모집 *
-신청 방법 : https://goo.gl/forms/8W1pSKvM8orGcgj42
↑ 링크 클릭하여 구글폼만 작성하면 간단히 신청 완료★

-서평단 모집 기간 : 4월 5일~4월 11일
※서평단으로 선정된 분들께는 개별적으로 책을 보내 드립니다.
서평을 올리신 후 URL을 본 포스트의 댓글로 달아 주세요.

많은 관심 바랍니다!

본 서평단 모집은 마감되었습니다. 곧 풍성한 이벤트로 돌아올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쌍봉낙타   외 1
  
                            
김   규   학
  
  
봉우리 
두 개 짊어지고
평평한 
사막을 건너간다.
  
이쪽 봉우리에서
야호’ 하면
  
저쪽 봉우리에서
메아리가 
울릴 것 같은
  
그림자 봉우리도
두 개
데리고 간다.
  
  
  
애벌레 눈에는
  
  
배추흰나비 애벌레가
배춧잎을 갉아먹네
  
배춧잎에 
구멍이
빠끔 뚫리네
  
사각사각 갉는 데도 
동글동글 창이 열리네.
  
하늘도 
구름도
애벌레 눈에는
둥글게만 보이겠네.
     

.....................................................................
김 규 학  1959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2009년 아르코 창작지원금을 받았고, 2010년 천강문학상, 2011년 불교문학상에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17년 황금펜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동시집 『털실 뭉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