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mages And Words
드림 씨어터 (Dream Theater) 노래 / 워너뮤직(WEA) / 1992년 7월
평점 :
품절
락 매니아의 한사람으로서 드림 씨어터라는 밴드를 지켜보면, 대부분의 락팬들과 마찬가지로 현란한 연주력과 그에 우선하는 작/편곡 센스 그리고 심도깊은 컨셉설정에 매료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밴드가 가져다주는 또다른 부러움은 바로 '미국'이라는 나라의 음악적 토양이다.
드림 씨어터 최고의 수작으로 평가받는 본작조차도 전 세계 판매량이 60만장을 넘기지 못할 정도로 이 '프로그레시브 메틀'이라는 장르는 여전히 마이너 음악이라는 꼬리표를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써 15년이 넘는 세월동안 밴드가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 그 배경이 바로 미국의 두터운 음악적 토양인 것이다.
천문학적인 미국 음반시장의 규모를 생각하면, 발표하는 음반마다 십만장도 제대로 팔지못하는 그룹이 어떻게 15년 넘게 존속할 수 있는지, 대중음악을 바라보는 대한민국 사람들의 관점으로는 조금 이해하기 힘들것이다. 이것은 말하자면 이전의 레드플러스같은 국내그룹이 15년 동안 국내 음반시장(돈에 죽고 돈에사는 그 살벌한)에서 생존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대중음악의 기반이 취약한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이런 일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다고 미국 락 뮤지션들의 주머니 사정이 우리의 그것보다 홀딱 좋아빠진 것은 아니다. 전 세계 어디를 가도 락 뮤지션은 배고프다. 이렇게 별반 차이없는 경제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판이한 결과가 나타나는데는 다름 아닌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적 풍토가, 선진국으로 갈수록 잘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토대가 조성되어 있기에 드림 씨어터는 맘껏 자신들의 재능을 드러낼 수 있었다.
본작은 이들의 전(全) 디스코그래피를 통해 연주력 면에서나 곡의 서정성, 변별력, 작품성과 전체적인 일관성 등등 거의 모든 기준에서 최고의 반열에 올라와 있는 작품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현재는 팀을 등진 키보디스트 케빈 무어가 재적하고 있었는데, 본작에서 두드러지는 서정적인 어프로치는 거의가 이 멤버의 영향이라 해도 무방하다. 실제로 케빈이 참여했던 마지막 작품인 'Awake'이후 드림 씨어터는 뚜렷한 하향세를 그리게 된다.
스래쉬메틀을 연상케하는 폭발적인 헤비리프가 압권인 'Pull Me Under'를 필두로 본작은 그 포문을 연다. 기본적으로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쥐고 있는것은 묵직한 기타리프인데, 베이스 연주와 키보드 연주 역시 '양념'이상의 역할을 해주고 있어 듣는 이의 귀를 조금도 쉬지못하게 만든다. 폭풍같은 성량의 보컬리스트와 중후한 톤으로 곡에 무게를 더하는 드러머까지. 이후 다른 곡들을 추가로 들을수록 실감하겠지만 이는 시작일 뿐이다.
국내에는 그저 평범한 락발라드의 하나로 소개되어있는 두번째 트랙 'Another Day'는 락팬들 사이에서는 보컬과 키보드의 하모니보다는 드러머의 다이내믹한 하이햇 연주로 더 잘 알려져있다.
이후 추가되는 곡들은 주로 노래보다는 연주력에 포인트를 주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네번째 트랙 'Surrounded' 역시 보컬 멜로디가 강조되긴 하지만 특유의 서정성을 강조하는 것은 키보드와 기타연주이다.
그외 'Take The Time', 'Metropolis', 'Learning To Live' 등도 멤버들이 기타 키보드 베이스 드럼으로 보여줄수 있는 하모니를 마치 연주력의 한계에 도전하듯이 숨가쁘게 엮어내는, 베스트 넘버들이다.
지난해 한국의 지상파 가요대상을 모조리 휩쓸었던 '이효리쇼크'에 많은 비평가, 그리고 많은 대중들이 공허해했다.
유명한 어느 철학자가 말했듯이 사회의 지체현상을 타파하는 것은 엘리트가 아니라 기층민중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저급한 대중문화 환경 역시, '파괴'를 실행할 주체는 우리 대중 스스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거기에는 전쟁을 하듯 힘들게 총칼을 동원할 필요도 없다. 그저 새로운 시도를 하는 이들에게 아낌없는 성원을, 그리고 저급한 행동을 일삼는 이들에겐 쓴소릴 조금 적극적으로 해주기만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