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 구운몽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
최인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음울하지만, 그것을 서술해 나가는 과정이 그다지 매끄럽지 못하고 부분적인 묘사에 있어서도 선이 굵지가 못해 독자에게 분명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안타까웠던 것은 외국소설의 환영이 군데군데서 드러났던 부분이었다. 이런 생각이 왜곡 혹은 비약으로 들릴수도 있겠지만, 어떤 작품을 좋게 평가하건 나쁘게 평가하건 다양성있는 비평은 결과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으리라 생각한다.

필자가 소설의 한가운데서 언급한 것처럼 카프카도 카프카지만, 조지 오웰의 그림자가 너무나도 진하다는 것은 비단 나만의 생각이 아닐 것이다. 좀 더 노골적으로 말하자면 조지 오웰의 소설에다 약간의 로맨스, 그리고 한국의 특수한 시대배경만 조금 입힌것으로 밖엔 소스가 드러나지 않는다. 로맨스라고 말을 하기는 했지만 그것도 조지 오웰이 비해서 그냥 단순히 더 언급이 되어있었던 것일 뿐 '사랑'에 관해서도 별달리 감동할 만한 내용은 없었다. 좀 더 뜨겁고(외설이 아닌) 격정적인 묘사가 있었더라면 소설은 한층 더 숨가쁘고 살아움직이는 작품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그 배경이며 스토리 구조가 참 식상하다. 특히 마지막에 명준(주인공)을 그렇게 처리한 것만큼 유치하고 딱한 부분도 없을 것이다. 작가는 주인공의 고뇌를 그다지 감동적으로 그리지도 못했으면서 갑자기 죽여버렸다.

많은 예술 작품들이 그 시대의 상황을 반영한다. 본 작품이 쓰여졌을 시기또한 이데올로기의 망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 모르는 바 아니나 그래도 아쉬운 느낌이 드는게 사실이다. 사랑에 관하여, 그리고 당시의 상황에 관하여, 좀 더 다채로운 상상을 해보는 것이 작가는 힘들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