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토 혜원세계문학 83
장 폴 사르트르 / 혜원출판사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팍스 멀더는 엑스파일에서 항상 말했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진실은 아니에요'. 이 친구의 말에 의해서가 아니라, 나는 항상 생각을 하고 있었다. 나의 존재와, 나의 모든 감각들. 지금 내가 느끼고 있는 모든 현상들이 과연 진실인지. 이러한 명제가 나는 항상 의문이었다. 저기 저 책, 김치냄새, 시계바늘 소리, 손끝 상처의 통증, 밥맛, 그리고 마음의 감정. 이 모든 감각이, 과연 '내'가 느끼는 것인지, 아니면 메트릭스의 한 부분처럼 누군가가 입력시킨 신호를 나의 뇌가 센서역할을 할 뿐인 것인지...

우리는 일반적으로 우리들의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충격적인 일을 겪으면 주위의 사물들이 굉장히 낯설게 느껴지는 경험을 한다. 예를 들어 예전엔 그저 평범해 보이던 부모님의 방이, 당신들의 사후에는 굉장히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 느낌의 수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머릿속은 혼란스러워지고 어지러워진다. 어지러움은 다시 메스꺼움으로 이어지고, 우리는 구역질을 한다.

이상이 본 작품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이 너무나도 획일적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고, 여러 사람이 읽은 만큼 이 소설에 접근하는 독자들의 시각도 다양해야 마땅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 또한 떠올랐다. 만약 나의 모든 감각들이 메트릭스에 의한 것이거나, 절대신-이것을 메트릭스라 표현해도 좋으리라-에 의한 것이라면, 결론은 하나에 귀착된다. '내 존재의 의미는?' 전혀 대답할 수 없다. 아니, 알 수 없다. 그래서 부조리하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나도 처음부터 해답(이 세상에 '정답' 혹은 '해답'이 있을까?)을 찾으려는 의도로 이 책에 접근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나의 영원한 의문점(존재의 의미)에 대한 조그마한 참고점이라도 발견했으면 하는 마음이었다. 애초에 뭔가 구체적인 답안지를 기대했던 내가 잘못이었다. 이 친구의 글이 맞을지도 모른다. 본질에 접근하려고 언저리만 뺑뺑 돌다가 다시 제자리로 왔을 뿐이다. 느낀 것이 있다면 '없다'가 아니라 '모르겠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