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문화비평이다 자음과모음 하이브리드 총서 4
이택광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산 이유는 순전히 신문에서 읽은 이택광 교수 글이 이따금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세상을 읽는 솜씨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남들과 다르게 생각한다고 해야 할까, 아무튼 난 그 점이 마음에 들어 우연히 서점에 들렀다가 이 <이것이 문화비평이다>를 샀다. 좀 훑어보고 샀어야 했는데 기차 시간 때문에 이 책을 집어든 게 좀 후회스러웠다.  신문과는 달리 한 가지 현상에 대해 저자 생각을 좀 자세히 펼쳐 줬으면 했는데, 거의 신문에 나오는 글 정도라는 게 답답했다. 사실,

내 전공은 아니더라도 한번씩 담 너머 처녀 구경 하듯 인문학 분야를 훔쳐보는 재미가 있기 때문에 이택광 교수 표현을 빌려, "Peeping Tom"처럼 문화비평을 들춰 보고 싶었던 마음이었는데, 이 책이 파편적이고 단편적인 글 모음이라는 걸 알았을 땐 '그냥 도서관에서 빌려볼 걸, 왜 샀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화비평 관련 책에서 자주 나오는 철학자들, 벤야민이나 아도르노, 루카치...  문화비평에는 사회주의나 흔히 좌파라고 불리는 학자들 또는 비평가들이 몸 담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철학자들을 다루는 것이겠지만, 이러한 철학자들에 기대서 자기 생각을 펴다 말아버리는 것은 읽는 사람을 참 답답하게 만든다.

이 <이것이 문화비평이다>라는 책이 그랬다. 사회현상을 좀 더 파고들어 자기 생각을 말해주면 좋으련만, 마치 검객이 상대방과 싸우다 칼을 갑자기 거두듯, 자기 생각을 거둬 들이면 읽는 사람은 갑자기 허기가 느껴진다. "난 아직 더 배고프거든. 좀 더 말해보라고, 하는 생각".

<낭만주의>에 대한 논의만 해도 그렇다. 난 이 <낭만주의>를 이사야 벌린을 통해 들었다. <합리주의> 반대편 저 끝에 놓여있는 자들의 모임, 하지만 합리주의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사람들이기도 한 낭만주의자들. 이 낭만주의와 칸트와 신칸트주의자들의 관계는 도대체 무얼까. 글을 읽고난 뒤에 의문만 더 생기는 것은 이 책이 좋은 책이기 때문일까, 아님 학자의 불성실함 때문일까, 난 아직 모르겠다.

 

그래도 이 책에 별 셋을 주는 이유는 신문 기사에서처럼 이 작은 글을 모아놓은 책에서도 이택광 교수의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기 또는 생각 비틀기"는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