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철학
김진석 지음 / 개마고원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지난 3월에 읽은 두 번째 책은 우리학교 철학과에 있는 김진석 교수가 쓴 <더러운 철학>이라는 책이다. 이 책의 앞 몇 장은 자조적인 느낌이라 - 뭐, 순수물리를 하는 사람들도 그 비슷한 자조 어린 대화를 많이 나누는 편이라 익숙하지만 - 갑갑한 느낌이 들었지만 저자의 의도는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 '더러운'이라는 형용사를 우리식으로 풀어보면 고매한 이상, 거대담론으로서의 철학, 위대한 사상으로서의 철학이 아니라 마치 똥통에 한발을 담구고 있는 듯한 현실적인 의미로서의 철학, 좀 더 물리적으로 말하면 현상론적인(철학에서 말하는 현상론이 아니라) 철학을 의미하는 것이다. 해방 후 이땅의 철학자들이 범한 오류의 대표적인 것은 철학이라는 학문을 지나치게 고문서들의 책갈피 속으로 던져 버렸다는 데 있을 거라는 것. 그 말은 지당하신 말씀이다. 예를 들어보자. 서구의 현대 사상가들 중 그 누가 세상으로부터 벗어나 철학을 논한 적이 있던가. 우리가 보기에 형이상학적일뿐이라고 욕해도 그들이 하는 말마다 세상에 대해 얼마나 고민했는가가 느껴지니까 말이다. 그게 철학자, 사회학자들의 역할이지 않을까. 세상의 껍질을 가차 없이 벗겨내서 보여 주는 것. 사실, 해답이란 없다. 그 현상이라는 게 어디 좀 복잡한가. 그 껍질를 샅샅이 벗겨 낸다는 게 어디 가당하기는 하단 말인가. 하지만 적어도 그 껍질을 벗겨 내려는 시도는 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건 우리가 실험 사실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행위와 비슷한 것이다. 찌질한 논문 몇편일지라도 그 논문에 적어도 이 땅에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지평을 제공해준다면 설령 그 논문들이 찌질하고 별 인용을 못 받는다고 해도 어떻다는 말인가. 그런 점에서 철학이 더러워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에 한표를 던진다. 사실, 좌파니, 우파니, 하는 이땅의 논리가 가당치 않게만 느껴지는 이때, 이런 책이 나왔다는 게 촌스럽게 말하자면 시의적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