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 평전
데니스 브라이언 지음, 승영조 옮김 / 북폴리오 / 2004년 3월
평점 :
절판


데니스 브라이언이 쓴 아인슈타인 평전은 아인슈타인의 삶과 학문을 연대별로 나눠 자세히 기술한 책이다. 저자가 아인슈타인에 대해 문헌 조사와 주위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성실하게 한 내용을 바탕으로 써 나갔기 때문인지 책을 읽으면서 꽤 객관적으로 기술하려고 애썼다는 표가 난다. 실제로 아인슈타인의 전기나 평전을 쓰려고 했던 사람들은 오토 네이선과 헬렌 두카스 라는 두 명의 충성스러운 케르베로스 때문에 자료를 구하는 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오토 네이선은 아인슈타인의 유언집행자였고 헬렌 두카스는 아인슈타인이 죽는 날까지 곁에서 보좌했던 개인 비서였다. 두 사람은 아인슈타인의 개인적인 편지와 아인슈타인에 대한 기록 등을 보호하려고 무척 노력하였다고 한다. 오토 네이선의 경우, 아인슈타인의 기록을 보호하려고 재판까지 불사하였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의 논문집조차 아인슈타인 사후 32년 후인 1987년이 되어서야 출판되었다고 하니 그 사람의 정성을 알만 하다. 참고로 오토 네이선은 1987년에 사망하였다. 그 때문에 아인슈타인에 관한 많은 내용들이 비밀로 감추어져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저자 서문에도 나와 있듯이 <슈뢰딩거의 삶>이라는 전기를 쓴 월터 무어가 인용한 몽테뉴의 “우리 인생은 어리석음과 신중함 사이를 오간다. 존경할 만 하고 규범적인 생애만 기록하려는 작가는 반쪽 진실을 덮어 버리는 셈이다”라는 말처럼 한 사람의 평전은 그 사람의 삶을 있었던 그대로 기록하는 게 중요하다. 데니스 브라이언의 이 책은 그 점에서 그 전에 나왔던 위인전 수준의 책이나 아인슈타인의 업적을 깎아 내리려고 의도적으로 쓴 책들과는 구분이 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기록에 의존해서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저자의 상상력인지 (실제로 상상하려 들지는 않은 것처럼 보인다) 잘 구분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돋보인다.
이 아인슈타인 평전은 1장부터 11장까지는 탄생부터 1905년 Annalen der Physik에 특수상대성이론에 관한 논문 <움직이는 물체의 전자기학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실을 때까지인 1879년부터 26세까지를 기술하였고 12장부터 24장까지는 유명해지고 나서 히틀러가 정권을 잡을 때까지인 1906년에서 1932년까지의 아인슈타인의 학문적인 업적과 삶을 다루었다. 24장부터 42장까지는 미국에 망명한 후 죽을 때까지 그의 삶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 보듯이 이 평전에서는 아인슈타인의 후기의 삶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어쩌면 이는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독일의 제삼제국을 거치면서 독일 내에 있던 아인슈타인에 관한 자료보다는 미국 내에 있는 자료를 접하기가 더 수월했을 테니까 말이다. 아인슈타인의 업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는 반면에 그가 사회의 약자 편에 서서 어떤 일을 하였는가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 부분이 이 책의 약점으로 작용할 것 같지는 않다. 아니 오히려 이 책이 주는 감동은 바로 그러한 아인슈타인의 모습 때문에 온다. 그의 학문에 있어서나 세계를 바라보는 눈에서나 많은 점이 일치한다. 그는 학문에서도 일관성을 지니려 노력하였지만 세계를 보는 눈에서도 늘 자신의 철학에 근거하여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이 점을 비록 당시에는 실패로 끝났지만 말년에 통일장 이론 (중력과 전자기력을 통일하고자 하는 이론)에 혼신의 힘을 쏟아 부었던 점에서도 자신과 토론하는 대상이 유명한 물리학자이든 평범한 대학원생이든 늘 같은 자세로 토론에 임했던 그의 모습에서도 동일하게 발견할 수 있다. 그가 명예나 부에 대해 초연한 모습을 보였다는 점은 옷차림에 지나칠 정도로 신경 쓰지 않았던 점만 빼면 오히려 동양의 선비상을 보여주는 듯 하다.
물리학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데 아인슈타인은 평생 양자역학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정작 양자역학의 문을 여는 데 가장 크게 공언한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런 이유 때문에 아인슈타인을 고전 물리에 속한 아집 센 물리학자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에게는 자연을 바라보는 그만의 독특한 세계관이 있었다.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신은 노회하지만 심술궂지 않다 (Raffiniert ist der Herr Gott, aber boschaft ist Er nicht: 이 말은 아인슈타인이 노년을 보낸 프린스턴 고등과학연구소에 쓰여 있다고 한다)“에서 보듯이 아인슈타인에게는 자기만의 독특한 우주관이 있었다. 그가 양자역학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단순히 그가 결정론자였기 때문이 아니라 양자역학이 지니고 있던 근본적인 문제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가 지금까지 살아있었다면 아마 생각을 바꾸지 않았을까 싶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가장 감명 깊었던 부분은 그의 학문과 그의 세계관의 일치다. 그가 약자 편에 섰던 것은 그가 마음 속에 품고 있던 세계관에 따라 행동하였기 때문이다. 자신의 그 조화와 통일에 대한 세계관 때문에 다른 사람이 자신에 대해 무슨 말을 하든 무슨 생각을 하든 개의치 않고 늘 약자 편에 설 수 있었던 것이다. 본인은 정작 FBI가 자신을 오랫동안 조사하고 있었다는 것을 몰랐지만 매카시 선풍이 몰아쳤을 당시 간첩죄로 사형 선고를 받은 로젠버그 부부를 위해 그토록 열성적으로 노력하였던 이유도 마찬가지였다. 1910년대 전 인류역사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지적 산물이라는 일반상대성이론을 세상에 내어놓을 때 아인슈타인은 장장 5주에 걸쳐 철야를 하였다고 한다. 그 때문에 그의 건강이 많이 상하기도 했지만 거기서 학자로서의 열정을 찾아볼 수 있다. 학문과 삶에 있어서의 조화 그리고 통일성, 학문하는 자세에 있어서의 열정, 놓치고 싶지 않은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