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가정내에서 여성이 드디어 남편과 비등한 권리와 의무를갖게 되는 때가 가정의 사회적 비중이 극히 축소되는 때와 일치하는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거대 규모로 확장되어가는 공업화압도하게 된다. 그리고 ‘일터‘에 일차적 비중이 두어지는 구조적 특된 ‘일터‘는 모든 다른 영역, 즉 종교·예술·가정 생활 등의 차원을징과 여성에게 있어서는 가정만이 그 일차적 충성을 바칠 곳이라는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한 부부 평등적 가치와 규범은 남성 지배를용이하게 하는 방편에 지나지 않게 됨을 보게 된다.
연애란 이런 상황에서 모색하는 과정이며, ‘낭만적 사랑‘이란 여성으로 하여금 고립된 가정연애란 경제 생산자인 남성이 자신을 편하게 해줄 ‘적합한 배우자를안에서 남성을 내조하는 소외된 생활에 만족케 하는 주요 기제가 된다(Coppinger and Rosenblatt, 1968: 샐스비, 1985). 남성은 이제 확대된 공적 영역의 조직원으로서, 또 가족내 독점적 경제 생산자로서 ㄱ신의 지배를 유지해가는 데 더 이상 인공적인 제도와 이데올로기적규제에 의존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공업 자본주의화의 진행에 따라남성은 경제적인 우월성과 사회적인 우월성을 동시에 갖게 된 것이며, 반면 생산에서 배제된 여성은 인류 역사상 어느 때보다도 직접적으로 한 남성(남편)의 지배를 받게 된 것이다. - P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