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뜨루가쯔끼 형제의 <세상이 끝날 때까지 아직 10억 년>을 영화화하기로 했을 때 감독 알렉산드르 소꾸로프는 형제가 마음에 들어한 대본을 제끼고 영화학교 시절부터 함께 했던 아라보프의 대본 <일식의 나날들>을 선택했다고 한다. 워낙 아트시네마의 거장이니 그 정도는 용서해드려야 하겠지...만, 그동안 미뤄놓고 못 읽었던 원작 번역본을 어제 읽었는데... 하... 원작이 이렇게 재미있는지 몰랐다. 스뜨루가쯔끼 형제의 팬이 될 듯. 그리고 소꾸로프의 영화를 한 번 보면 이 감독에게 매료되지 않을 수가 없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일식의 나날들>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원작과 영화는 주인공 이름과 배경이 무시무시하게 더운 여름날이라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제로다. 

 

 

 

그리고 <세상이 끝날 때까지 아직 10억 년>을 읽다가 몇 군데 오역을 발견했다.  

우선 오역은 아니고, 러시아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원작 텍스트를 보면 부제로 <이상한 정황 하에 발견된 원고>라고 붙어있는데 이 부분이 번역본에서는 없어서 실수로 누락된 것인지, 고의적으로 그런 것인지 궁금하다. 역자 후기를 보면 번역 대본으로 YMCA-Press에서 1984년에 출판된 책을 사용했다고 했는데 번역 대본 자체에 원작에 손을 본 곳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본문 중에 외국 작가 이름 두 개가 나오는데 번역본에서는 그 이름이 똘스또이와 도스또옙스끼로 바뀌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YMCA-Press는 혁명후 서유럽으로 탈출한 러시아인들이 러시아어 책들을 서유럽에서 출판하기 위하여 설립한 출판사다. 솔제니찐 책들도 아마 여기서 처음 출판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또 하나, 원작을 보고 처음에 이상한 느낌을 받은 부분은 1, 2, 3... 이렇게 나뉘어진 각 장의 시작과 끝이 말줄임표(한국어에서는 말줄임표를 여섯 개 찍지만 러시아어로는 세 개를 찍고, 아래한글에서는 말줄임표를 대충 몇 개 찍으면 자동으로 줄 가운데 점 여섯 개 + 마침표로 바꿔버린다)로 시작되고 끝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각 장의 내용 전체가 인용부호로 묶여 있다. 그게 내용전개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 같지만 원작의 구성적 내용이 번역본에서는 사라져 있어서 살짝 아쉽다.  

 

1) 오역은 아니고 편집과정에서 오타가 나온 것 같은 부분은,  

천엽 즙에 절인 연어, 그리고 해묵은 껍질에 싸여 있는 햄.  

15쪽

'천엽 즙'이 아니라, '천연 즙'이다.  올리브유나 포도주에 절인 연어가 아니라 연어 자체에서 나온 즙으로 절인 연어라는 말이다.  

 

2) 주인공의 친구 바인가르텐이 말끝마다 붙이는 '동지', '동지들'이란 말이 이상해서 원작을 보니 'отец'이란 말이었는데, 이 말은 '동지'처럼 정치적 함의가 들어가는 단어가 아니라 그냥 친한 중년 남자들 사이에서 서로를 허물없이 부를 때 쓰는 말이라서... '동지'는 적절한 선택이 아닌 것 같다. 

 

3)  

   
 

보기 드문 미인인 그의 아내 스베따는 이미 오래 전에 남편의 바람기에 대해 포기했다. 특히 그가 공공연한 장소에서 아내를 구박하고 부부 싸움을 하는 걸 즐기는 버릇이 있다는 것을 안 뒤에는 완전히 입을 다물고 말았다.   

89쪽 

Светка, женщина исключительно красивая, но склонная к меланхолии, давно махнула на него рукой, тем более что он в ней души не чаял и постоянно дрался из-за нее в общественных местах.

원문을 직역하면,   

"보기 드문 미인이지만 우울증 내력이 있는 그의 아내 스베따는 이미 오래 전에 그의 이런 성격에 신경을 끈 상태였다. 아내를 끔찍히 사랑하는 그는 공공장소에서 그녀 때문에 끊임없이 싸움을 벌이곤 했다."  

여기서 '그'는 주인공의 친구 바인가르텐을 말하는데, 그가 정열적인 삶을 살며 여자를 사귈 때도 저돌적이었다는 성격 묘사를 하는 장면이다. '그녀 때문에' 싸운다는 부분이 '부부 싸움을 즐기는' 것으로 오해되어 원문에는 없는 바인가르텐의 '바람기'까지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Не понимаю, зачем вам оспаривать теорию истор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изма?". 

- Лев Гумилев 

이해할 수가 없어요. 왜들 역사적 유물론을 못 잡아먹어서 난리인가요? 

- 레프 구밀료프 (구소련 해체후 유물론에 대한 황색적인 비판과 비난이 폭주할 때 역사적 유물론을 옹호하며 한 말이라고) 

 

"Все, что делал Сталин, было упрощением этн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А мы сейчас расхлебываем". 

스딸린이 한 모든 정책은 민족체제를 단순화하는 것이었어요. 그 피해는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거구요.  

 

"Право выбора пути, — многократно повторял Л.Н., — всегда принадлежит этносу".  

어떠한 길을 가느냐하는 선택권은 언제나 각각의 민족(에뜨노스)에게 속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Навечно закрепленных за каким-то народом земель и территорий не существует".  

- Лев Гумилев 

어떤 한 민족에게 영원히 부여된 땅과 영토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 레프 구밀료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Я как-то читал лекции в МИДе, но кончились они бедой. Я объяснял им, какие у нас могут быть отношения с Западной Европой и ее заокеанским продолжением — Америкой. То, что Америка — это продолжение Европы, они усвоить не могли и считали, что она кончается на берегу Атлантического океана. И еще я им говорил об отношениях с народами нашей страны. Поскольку я занимаюсь историей тюрков и монголов, я знаю этот предмет очень хорошо, и поэтому посоветовал быть с ними деликатными и любезными и ни в коем случае не вызывать у них озлобления. Они сказали: "Это нам не важно — куда они денутся!" "И вообще, — сказали они, — мы хотим, чтобы вы читали нам не так, как вы объясняли, а наоборот". Я ответил, что этот номер не пройдет. Они сказали: "Тогда расстанемся", подарили мне 73 рубля и пачку чая. Большую пачку".
- Лев Н. Гумилев 

한번은 외무부에서 강의를 한 적이 있는데, 끝이 좋지 않았지요. 그때 나는 서유럽과 대서양 건너 그 연장선인 미국과 우리나라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가능한 지에 대해서 그들에게 설명을 했는데, 그 사람들은 미국이 유럽의 연장선이라는 것을 납득하지도 못했고 유럽이란 대서양 연안에서 끝난다고 생각하더라구요. 그러고 나서 소연방의 제민족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말을 했어요. 내가 투르그족과 몽고족의 역사를 연구했기 때문에 이 분야는 식견이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연방 구성민족들에 대해서 섬세하고 우호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그들을 악에 받치게 해서는 안된다고 충고했지요. 그랬더니 그 자들이 하는 말이 "그런 건 중요한 문제가 아닙니다. 지깟것들이 어쩌겠어요!"였지요. 그리고는 "말이 나온 김에 하는 말인데 지금 우리에게 설명한 것 말고 그 반대의 설명이 우리한테 필요합니다"라더라구요. 그런 식으로는 안된다, 고 내가 대답했더니 "그럼 이만 하도록 하지요"라는 대답과 함께 강의료 73루블과 홍차 한 팩을 주더군요. 아주 큰 팩이었어요." 

- 레프 구밀료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Льва Николаевича Гумилева многие называют великим евразийцем нашего времени. Его научные труды стали ярким вкладом не только в развитие исторической мысли, но и в утверждение идей вековой общности, взаимосвязанности народов, населяющих огромные пространства Евразии от Балтики и Карпат до Тихого океана” - из речи Владимира Владимировича Путина, Президента РФ в университете им. Л.Н. Гумилева 10 октября 2000 года (г. Астана, Казахстан).

많은 사람들이 레프 니꼴라예비치 구밀료프를 우리 시대의 위대한 유라시아인이라 부릅니다. 그의 연구 업적은 역사철학의 발전뿐 아니라 발틱해와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태평양에 이르는 유라시아의 광대한 공간에 거주하는 민족들이 수세기에 걸쳐서 공동의 운명, 상호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사상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뚜렷한 공헌을 했습니다.  

- 블라지미르 뿌찐 (2000년 10월 10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레프 구밀료프 대학에서의 연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