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대향(). 평남 평양() 출생. 오산고보() 졸업. 일본 도쿄문화학원[] 미술과 재학 중이던 1937년 일본의 전위적 미술단체의 자유미협전(:제7회)에 출품하여 태양상()을 받고, 1939년 자유미술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1945년 귀국, 원산()에서 일본 여자 이남덕(:본명 )과 결혼하고 원산사범학교 교원으로 있다가 6·25전쟁 때 월남하여 종군화가 단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신사실파() 동인으로 참여했다. 부산·제주·통영 등지를 전전하며 재료가 없어 담뱃갑 은박지를 화폭 대신 쓰기도 했다.

1952년 부인이 생활고로 두 아들과 함께 도일()하자, 부두노동을 하다가 정부의 환도()와 함께 상경하여 1955년 미도파()화랑에서 단 한 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그후 일본에 보낸 처자에 대한 그리움과, 생활고가 겹쳐 정신분열병증세를 나타내기 시작, 1956년 적십자병원에서 간염으로 죽었다. 작풍()은 포비슴(야수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향토적이며 개성적인 것으로서 한국 서구근대화의 화풍을 도입하는 데 공헌했다. 담뱃갑 은박지에 송곳으로 긁어서 그린 선화()는 표현의 새로운 영역의 탐구로 평가된다. 작품으로 《소》(뉴욕현대미술관 소장), 《흰 소》(홍익대학교 소장) 등이 있다.

해와 아이들


 

 

 

 

 

 

 

 

 

 

 

과수원의 가족과 아이들


 

 

 

 

 

 

 

 

 

 

 

복사꽃과 아이들

 

 


 

 

 

 

 

 

 

 

 

 

 

흰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