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
-1907~1909

-캔버스에 유채, 108×180㎝
-오스트리아 미술관

 

 

 

 

 

 

 

키작은 풀꽃이 만발한 언덕 위에 두 연인이 서로에게 의지한채 서있다. 짧은 순간에 도취되어 지그시 두눈을 감은 여인 하지만 그 순간 의 감흥이 얼마나 큰지는 말려들어가는 손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금빛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커다란 가운은 마치 후광처럼 짧은 순간의 감흥을 더해주고 두 사람은 하늘을 향해 떠오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하나인듯 하지만 결국 엄연히 다른 둘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은 패턴화된 장식을 통해서다. 남성의 옷에는 직사각형의 장식을 넣어서 남성성을 드러냈고 여성에게는 둥근 원형의 장식을 넣어서 여성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두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큰 가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남성의 상징을 연상시킨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결국 남성안에 남성성과 여성성이 동시에 존재함을 암시하는 것이다. 남성안에 있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진정한 화해. 그리고 여성에 대한 이해와 존경을 통해서만이 진정 남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는 메세지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궁극적인 화해의 이미지는 입맞춤인 것이다.

이 그림을 통해 클림트가 말하려고 했던 것은 남성과 여성의 화해를 통한 영원한 사랑이다. 하지만 그건 결코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꿈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자신은 알고 있었던 것 같다. 클림트 자신과 에밀리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처럼. 이 그림은 분명 사랑을 통한 화해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만 결코 따뜻하거나 희망적이라는 느낌을 주지 못한다.
관자를 향해 아니 세상을 향해 매몰차게 돌려져 있는 남자의 머리와 창백한 얼굴로 세상으로 통하는 문을 닫아버린 듯 꼭감은 두눈의 여자의 얼굴에서 오히려 소외감과 우울함을 느끼게 만든다


 

[개양귀비 들판]
-1907

-캔버스에 유채, 110㎝×110㎝
-오스트리아미술관

 

 

 

 

 

 

 

 

 


해바라기가 있는정원]

- 1905~1906
- 캔버스에 유채, 110㎝×110㎝
- 오스트리아미술관

 

 

 

 

 

 

 

 

클림트는 경제적 여유가 있던 말년에 에밀리 플뢰게, 그리고 그녀의 가족들과 함께 아테제 호수에 자주 드나들었다. 이 곳은 빈에서 고요하기로 정평이 나있었는데, 클림트는 성격이 까다로워서 작업할 때 누가 방해하는 것을 상당히 싫어하여 이 곳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클림트는 다양한 풍경화를 그렸다.

클림트는 풍경화에 절대 인물을 그려넣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모든 풍경화는 캔버스에 유채화, 110㎝×110㎝ 의 정사각형 구도를 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