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곁의 여인]
-캔버스에 유채, 73.7*92.7cm
-Havemayer Collection,New York,USA

부인의 초상화에 꽃을 배치하는 것은 예부터 있어 왔다. 그러나 드가처럼 화면의 중앙, 가장 중요한 부분에 커다란 국화를 배치하고 인물을 바른쪽 구석으로 몰아 넣은 변칙적 구도는 흔하지 않다. 물론 이는 드가의 의식적 시도다. 그리하여 그는 새로운 방법을 꾀하고 있는 것인다. 일반적으로 모델은 에르테르 부인이라고들 하는데 루브르 미술관에 있는 드가의 <1860년경의 에르트레부인>이라는 데생과 대조해 보면 서로 다른 인물임을 알 수 있다. 테이블 위에 놓은 화려한 꽃과 배경의 식물 무늬 벽지 그  리고 인물의 뛰어난 묘사는 감탄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무대위에서의 발레 실습]
-1874
-캔버스에 불투명수채, 66.0*82cm
-파리 오르세 미술관

이 그림은 선회를 중심으로 한 움직임과 빛, 광채들이 전체의 구도 속에서 보다 완만한 선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은 1874년 제1회 인상파전에 출품되었는데 모네, 르느와르, 세잔, 피사로, 시슬레의 작품과 함께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드가는 사실 그의 젊은 동료들 처럼 반항적인 정신을 지니고 있진 않았지만 신문은 그를 용서하지 않았다. [이것은 정신이상자의 작품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작품에 대한 평이었다.


출연대기 중의 무용수들]
-1878~80
-캔버스에 유채, 175*108cm
-보스턴 미술관
세사람의 무용수가 의상의 통일된 색상에 의해 하나로 되어 있다. 의상은 약간 회색을 띠고 있지만, 전체로서는 밝은 색조가 넘치고 있다. 화면을 대각선으로 가르고 바른쪽 아래로 무용수들을 배치하고 무대 안쪽에는 동양풍의 짙은 무대막을 그려 넣었다. 곁에 있는 무용수들은 토우 슈즈를 신은 발의 윤곽이 확실하다. 이러한 방법은 드가가 수업 시대에 익힌 신고전주의 전통으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