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곡마사]
-1931
-캔버스에 유채, 100*82cm
-암스테르담 미술관
샤갈은 193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가선 서커스를 주제로한 연작을 그리게 되는데, 이것은 그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작품의 하나이다. 바이올린을 턱밑에 끼고 꽃다발을 입에 문 백마가 있고, 그위에 올라탄 빨간 부채를 든 빨간 옷의 여인과 초록색 상의의 연인이 있다. 오른쪽 밑의 멀리로는 러시아의 마을과 곡마단이 있고, 그와 대각선을 이루는 화면 왼쪽 위에도 바이올린을 켜는 사나이가 보인다.
한마디로 자유로운 사랑의 찬가인데, 샤갈의 독특한 환상인 이 찬가는 주제 요소의 매혹적인 중첩과 꿈속 같은 색조 분위기로 인해 무한한 변주를 보인다. 샤갈은 만년의 많은 작품에서처럼 유년 시절의 경험을 되살리고 있다. 그에게 있어 그러한 유년 시절의 경험은 상상력에 의해 여러번 되풀이되고 그모습도 달리하고 있으나 긴 생애 동안 그의 마음에서 결코 사라진 적이 없었다.

[러시아, 암소, 그리고 다른 것들에게]
-1911
-캔버스에 유채, 156*122cm
러시아 태생으로 1910년에 파리로 간 샤갈은 맨 먼저 야수파의 강렬한 원색 구가(仇家)에 충격을 받았다. 이어서 스는 입체주의의 영향도 빋게 된다. 그러나 그는 그 자유롭고 다이나믹한 공간 취급의 방법을 자신의 환상의 세계에 결부 시키는 형식으로 입체주의를 소화했을 뿐이었다. 그러다가 그는 당시 레제, 들로네, 모딜리아니, 수틴 등이 살고 있던 몽파르나스 근처의 라 디슈(벌집이라는 뜻)라 불리던 보잘것 없는 공동 주택에 살면서 자신의 세계에 전념했다.
거기에서 그는 시인 아폴리네르, 생드라르스 등과도 가깝게 지낼 수 있게 되었다. 그때 생드라르스의 시에서 힌트를 얻어, 구고 온 고향 비테브스크의 풍물을 그린 것이 이 작품이다. 유태인 교회도 보이는 주택가, 자신을 길러준 러시아 대지를 상징하는 암소, 목이 달아나고 있는 여인, 무지개 빛이 비낀 하늘 등을 중첩시킨 화면 구성은 입체주의의 적용이라 할 수 있겠다.

 

[나와 마을]
-1911
-캔버스에 유채, 192.2*151.6cm
-뉴욕 근대미술관
파리에서 입체주의의 분석적 방법을 습득하고, 다시 들로네와 같은 화가의 빛을 동반한 색채 수법을 흡수한 샤갈은 그 새로운 여러 수법을 자기 것으로 하여 그리운 고향을 생각하는 연작을 남겼다. 이 대작에는 멀리 교회와 집들이 나타나 있고, 농구를 짊어진 농부와 우유를 짜는 여인이 등장하고 있다. 아래쪽엔 꽃이 핀 한 그루의 나무가 서있다. 그리고 화면의 양쪽을 암소의 머리와 샤갈 자신의 얼굴이 점거하고 있다.
고향 생각의 여러 요소들이 원과 삼각형 및 대각선, 신비스런 색채, 이미지의 투명한 중첩, 파랑과 빨강과 초록의 대비 속에 마음껏 환상의 날개를 편다. [파리에 와 있는 나에게 고향 마을이 암소의 얼굴이 떠오른다. 사람이 그리운 듯한 암소의 눈과 나의 눈이 뚫어지게 마주보고, 눈동자와 눈동자를 잇는 가느다란 선이 종이로 만든 장난감 전화처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자료출처:Grand collection of world ar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