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커 교육 대백과 - 용어부터 도구, 장비, 메이커 스페이스, 디지털 메이킹까지
김근재 외 지음 / 테크빌교육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커 교육이라는 생소한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단순히 무언가를 만들어 보는 미술 또는 과학 수업의 한 종류인 것으로 생각했다. 처음 듣는 메이커 교육에 대해 많은 궁금증이 들었지만 속시원하게 알려주는 서적은 없었다. 그리고 나서 기억 속에서 거의 잊혀질 무렵, '메이커 교육 대백과'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에 따르면 메이커 교육이란 학생들이 주제, 활용 도구 및 테크놀로지, 재료, 결과물을 주도적으로 선택하여 만들기 활동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능력 및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그동안 과학, 미술, 실과 등 그동안 많은 만들기 수업이 있었지만 이는 교사 중심의 수업 즉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교사가 지시하는 방향에 따라 만들기를 하는 형태였다. 하지만 메이커 교육은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의 교육으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지식, 기술을 익히고 문제해결을 직접 경험해본다는 차이가 있다.

  '메이커 교육 대백과'의 특징은 나와 같이 메이커 교육에 대한 왕초보 교사에게 하나부터 열까지 친절하게 안내한다는 것이다. 메이커 교육의 정의부터 학교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이 왜 필요한지, 메이커 교육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들에 대한 안내,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의 구성,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장비 그리고 수업 설계까지 마치 책제목처럼 백과사전을 펼쳐놓은 기분이 들었다.

  책을 읽으면서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시대적 요구를 잘 반영한 교육이 바로 메이커 교육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한 손으로 직접 만드는 수업에서 태블릿, 3D프린터, 3D 펜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메이킹을 배우는 메이커 교육은 미래의 인재를 키우는데 더없이 좋은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올해는 이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메이커 교육에 도전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