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의 동서 미스터리 북스 39
프랜시스 아일즈 지음, 유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컴플렉스에 사로잡힌 음울한 성격의 시골의사가 자신을 지배해온 아내를 살해하는데 성공한다. 한번 실행된 살의는 멈출 수 없고, 그는 세균배양을 통해 또다른 범죄를 계획하는데... 《클로이든 발 12시 30분》, 《백모살인사건》과 더불어 도서(倒敍)추리의 3대 걸작으로 꼽히는 소설.

* '도서 추리'란, 범인 쪽에서 주도면밀한 범죄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과정을 그린 뒤, 완벽하게 여겨졌던 범행이 뜻밖의 헛점으로 인해 폭로되는 과정을 그리는 형식을 말한다. 일반적인 추리소설은 범인이 누구이며 범행 방법은 무엇인가가 문제가 되지만, 이 형식에서는 그러한 점를 먼저 밝힌 뒤 그 과정에서 범죄자의 심리를 치밀하게 묘사하여 독자에게 긴장감을 제공한다.

개인적으로, 도서 추리소설 및 도서 추리 형식의 드라마류 팬이지만 이 작품은 알고도 보지 않은 작품 중의 하나이다. 이 작품은 《백모 살인사건》과 《클로이든 발 12시 30분》이라는 작품과 더불어 세계 3대 도서추리소설인 지명도 높은 작품으로,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던 작품이다. 《백모 살인사건》의 코믹함과 《클로이든발》에서의 프렌치 경감과 범인의 대결대신에 이 작품은 한 인물의 섬세한 심리묘사가 특히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연상의 아내에 대한 증오심과 살의, 자신의 음울한 성격과 망상이 어우러져 끝내 주인공인 시골의사 테디는 아내를 죽이려고 마음먹는다. 아내를 혐오하는 마음에서부터 또 다른 여자를 만나 그녀와 사랑에 빠지면서 마침내 살의와 살인에 이르기까지의 인간 심리를 현미경 관찰 하듯 세밀히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개인적으로 수학이나 과학을 몹시 싫어하는지라 추리소설을 읽을 때도 홈즈의 날카로운 과학적 추리나 엘러리 퀸의 수학적 분석 추리보다는 포와로나 마플의 인간본성의 분석에 의한 추리나 증거가 처음에 나열되는 도서추리를 더 좋아하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복잡다단한 트릭 대신 인간 심리 변화의 극치를 보여주는 이 작품은 특히 호감이 가는 것 같다. 이 소설에 나오는 살인자의 심리와 상상력은 여타의 마을 사람들이나 변호사, 경찰을 뛰어넘는 수준이지만 그는 자신의 범죄가 발각될까봐 악몽을 꾼 뒤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죽은 아내를 괜히 죽였다고 후회를 하기도 하는 컴플렉스에 시달리는 인물이다.

이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얼마나 사람의 마음과 심리가 변화무쌍하며 변덕스러운지 어느 정도는 알 수 있게 된다. 열등감 콤플렉스에 시달리며 치밀한 살인을 계획하는 이 시골의사는 자신의 진정한 사랑을 얻은 기쁨과 환상에 들떠 아내를 죽이는 데 성공하지만, 매우 안타깝게도 그 살인은 덧없는 것이 되어버리고, 꿈꿔왔던 미래는 순간적인 인간의 마음의 변화로 인해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로 나아가게 된다. 게다가 그 여파로 범인은 또 다른 살인계획을 꾸미게 되고 완전범죄에 거의 성공하지만 어이없는 결과로 인해 끝내 범행을 망치고 최후를 맞게 되는, 인간의 내부에 숨겨진 본성을 철저히 비춰주는 작품이었다. 작품 구성과 전개에 있어서도 평범한 시골 상류 사회의 다양한 성격을 가진 인물들이 톱니바퀴 돌아가듯 구성된 전개를 보여주며, 결말에서 일희일우하는 범인의 긴장되는 심리와 법정의 모습, 맨 마지막 한 줄로 끝내주는 반전이 어느정도 볼 만한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세 명의 여자들(아내, 정부, 또 다른 애인)로 인해 파멸하는 남자의 모습과, 등장인물들의 화려한 외양과 불꽃같은 사랑 뒤에 감춰진 잔인한 본성과 연약함, 정신분열 등 인간 심리의 전시장에 가 본 것 같은 흥미진진한 경험이기도 한 작품이었다.
심리묘사소설로서도 탁월한 수작이 아닐 수 없다.

원제는 법률용어로 malice aforethought (계획적 범행 의사[살의(殺意)])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