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지음 / 사계절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는 세계


왜 세계일까?


북클럽을 통해 김소영 작가님의 책 [어떤 어른]과 [어린이라는 세계]를 한 달간 읽게 되었다. 


[어떤 어른]을 읽은 후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미소가 지어지는 부분이 많았다. 


사회의 모든 부분에 어린이라는 기준을 세워두면 세상이 보대 따뜻해 질 것 같다. 



사부작대다 / 사부작대는 모습

비죽이다 / 입을 비죽이다. 




*2

-개성은 고유성에 가깝다 (p86)

-어린이가 누구와 닮았다고 하면 설명이 쉬워진다 (p90)

-어린이를 만드는 건 어린이 자신이다 (p91)


목수정 작가님의 [칼리의 프랑스 학교 이야기] 에서도 유사한 맥락의 대화가 나온다.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목수정 작가님이 누굴 닮아서 이렇게 컸을까? 라고 이야기 했는데 칼리는 "나는 스스로 컸다." 고 대답했다. 이때 이 책을 읽고 아 역시 프랑스 교육은 아이를 독립적으로 성장하게끔 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김소영 작가님의 책을 읽으면서 꼭 그런건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의 교육 철학도 그러한 방향성을 띌 수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즉 어린이를 보다 존중하는 문화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  


*3 

마음속의 선생님


기억속에 남아 있는 나의 옛날 선생님의 모습과 나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 편식

재료를 크게 써는 것은 당근을 남편에게 넘기기 위해서다 (125)

"지금은 안 먹도 나중엔 먹게 된다."고 말하는 것도 협박처럼 들릴지 모르겠다 (126).

누구와 무엇을 먹을지 스스로 정할 수 있다는게 먹는 즐거움의 영역을 많이 넓혀 준 듯 하다 (127)


*

그런데 내가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자, 어린이들은 은근히 잔소리를 했다 (133).

첫 곡 연주를 시작할 때 나는 심장이 귓속에 있는 줄 알았다 (136).



*

어린이에게는 어른들이 환경이고 세계라는 사실을 그날 다시 깨달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146)


삶의 순간순간은 새싹이 나고 봉우리가 맺히고 꽃이 피고 시드는 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지나고 보면 그런 단계를 가졌을지 몰라도 살아 있는 한 모든 순간은 똑같은 가치를 가진다. 내 말은 다섯살 어린이도 나와 같은 한 명의 인간이라는 것이다 (162)


*

삶은 선택한다는 건 나아가겠다고 선택하는 것이니까. 나아가려면 외면할 수 없으니까. 나아가려면 맞거야 하니까. 삶을 선택한다는 건 그런 것이니까 (164).


*

부모님들 만큼이나 아이들도 부모를 사랑한다 (178).


*

"좋아서 괴롭힌다는 변명 (227)


*

아무 고민 없이 할 때보다 고민을 할 때가 더 힘들기 때문에 못 그리는 것처럼 느껴지는 거야. 

=> 나도 가끔 일을 하다 보면 시간이 지났음에도 참 빠르게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이전 보다 나아 지기는 했지만... 위 문장을 읽으면서 


"고민을 해서 힘이든다. 힘이 들면 못 하는것 처럼 느껴진다."


여기에 나도 공감한다. 뒤돌아 보면 내가 못하는 것 처럼 느껴지는 순간은 힘들 때였던 것 같다.


냉소주의는 감히 얼씬도 못 한다. 



*이 책을 통해 알게된 책을 

장 폴 사르트르 / 말 (p 67)

메리 올리버 / 완벽한 날들 

말하기 독서법 / 김소영


그래서 부당한 대접을 받았을 때는 ‘이상하다‘고 느꼈으면 좋겠다. 사실 내가 진짜 바라는 것은 그것이다. - P41

어른들이 어린이에게 해 줄 일은 무서운 대상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마주할 힘을 키워 주는 것 아닐까.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을 응원하고, 부드러운 손길로 다독이면서. - P53

나는 어린이의 품위를 지켜주는 품위 있는 어른이 되고 싶다. - P45

이 책엔 제 마음이 있어요.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