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위치 위기론은 허구다 - 조직론으로 본 한국 자본주의의 본질적 위기와 그 해법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4
우석훈.박권일 지음 / 개마고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건방진 말인지 모르겠으나, 그의 책을 두 권째 사서 읽어본 (첫 번째 책은 '도마위에 오른 밥상' 이다) 나름대로의 결론이다.

그의 짧은 칼럼들은 참 마음에 들지만, 이 두 책을 읽어본 결과는 흡사 단편은 잘 만들었는데, 장편은 실망스러운 영화감독을 떠올리게 만든다.

왜 그럴까? 좀 더 아픈 말이겠지만 우박사는 책을 지나치게 쉽게 생각한 듯 싶다. 개별 문장들에는 별 문제가 없다. 속에 담긴 아이디어들도 산뜻하다. 그런데, 그것들이 묶여지면서 너무나 두서가 없다. 체계가 잡히지 않고, 그냥 생각나는대로 쭉 쉽게쉽게 써나간 느낌이다. 두 페이지쯤 읽고 나면 무슨 말을 했는지 감이 안잡히거나, 앞에서 한 말의 동어반복이 이어지고 있다는 걸 느낀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리고 책을 치열하게 쓰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디어들은 나름대로 좋은데 그것들이 제대로 된 논증없이 그냥 가볍게 나열되고 있으며, 용어들도 별로 고민없이 쓰인 티를 낸다.

예를 들어 보자.

초기에 출발점이 어디에 있더라도 대부분의 개인 전략이 특정 지점으로 수렴하게 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런 끌개와 같은 고정점들이 자꾸 등장하게 되면...(중략) 수렴점이 복수로 나타나면...(중략)

(108페이지) 여기서는 같은 용어를 같은 문장 내에서 고정점과 수렴점이라고 다르게 쓰고 있다. 글을 그냥 생각나는대로 써나간 것이다. 구어에서는 허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책에서는 아니다.

기업의 내부는 아무리 경쟁의 룰을 새롭게 도입하거나 효율성을 최고의 기준으로 제시한다고 해도 결국은 조직의 세계이고, 이 속에서는 시장의 원리가 일단 정지하거나 굴절되고, 조직이라는 특수한 원칙들이 움직이는 세계이다. 조직 내부에서 경쟁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시장을 모방한 '의태'에 불과하고, 완전경쟁 시장에서 발생하는 것 같은 무한경쟁은 발생하지 않는다. 조직 내부의 경쟁은 그래서 제도일 뿐이다. 그래서 다른 모든 사회 조직에서 소그룹이 생겨나는 것처럼 기업 내부에서도 소그룹이 자연스럽게 생겨난다. 계약 관계에 의해서 움직이지만, 사실 조직의 틀 내로 들어오는 순간 어떤 의미에서 경쟁은 제한되고, 제도적 관계들이 작동할 여지가 더 많아진다.

(113페이지) 헉헉...치느라 힘들었다. 이 문장들은...내가 논술 강사는 아니지만 논술학원이라면 잘못된 사례로 제시하기 딱 좋은 문장들이다. 일단 첫 번째 문장은 별로 문제가 없다. 그런데, 두 번째와 세 번째 문장을 보면, 흡사 첫 번째 문장의 근거를 제시한 문장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약간의 부연 설명에 불과하다. 일종의 다시쓰기(paraphrase)를 한 셈인데, 마지막 문장은 엉뚱하게 '그래서'라는 단어가 흡사 결론처럼 제시된다. 결론적으로 근거가 전혀 없이 단정적으로 주장만 이어지니 논리는 빈약해진다. 그리고 비슷한 이야기가 너무 길어진다. 경제학을 다루는 책에 글의 경제적 효율성이 없다!

더 심각한 것은 네 번째 문장인데, 조직 내부의 경쟁이 제도라는 것과 기업에서 소그룹이 생긴다는 것의 인과관계가 전혀 제시되지 않는데 '그래서'라는 문장으로 연결되고 있다. 물론 우석훈의 머릿속에서는 이 사이의 연결관계가 형성이 되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읽는 이에게는 황당한 논법일 뿐이다. 마지막 문장은 또 엉뚱하게 소그룹 이야기를 단절시키고 다시 조직,계약, 경쟁 이야기로 돌아온다. 거의 널뛰기 수준이다.

이건 일종의 머릿속으로 떠오르는대로 쓴 '자동기술법적'기술인데, 문학이 아닌 논리를 이야기하는 경제학에서 이런 글은....전대미문이다. 그의 블로그의 글을 보니, 몇 달 새 이 책을 비롯한 두 권을 썼고, 또 두 권을 바로 마무리할 모양인데,  낭패다. 좀 더 늦추고 생각을 가다듬고 집필해도 늦지 않다고 본다.

괜찮은 문제제기와 아이디어가 이런 식의 책으로 나오는게 안타까워서 던지는 충고이다. 우박사가 이 글을 읽었으면 한다. 나 역시 그처럼 이 책에서 이야기한 2%의 반 황우석에 섰던 사람으로서, 그가 좀 더 좋은 책을 냈어 던지는 고언임을 이해해 줄 것으로 믿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7-09-12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렇군요~ 책이라고 다 글이 되는 건 아니지요~~ 공감!

저도심슨팬 2007-09-17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글쓰신 분 말씀에 동의하는 내용도 있고 그런데 고정점하고 수렴점은 다른 말이에요.

고정점은 focal point, 수렴은 convergence지요. 고정점이란 건 포물선 운동이나 타원운동 같은 거에서 궤도가 지나가지는 않지만 그 점을 중심으로 운동하게 하는 그런 거고요,
수렴은 파동이나 성장에서 쓰는 말인데 운동의 결과 결국 도착하는 한 지점을 말하는 겁니다.

저는 오히려 우석훈박사가 이런 용어의 차이를 책에서 설명했어야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런 용어는 이공계는 알지만 고등학교 문과전공에서는 수학시간에 배우지 않는 말이죠.

phlipismine 2007-09-17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윗분 말씀은 맞는 것 같습니다만...(경제학에서도 focal/covergence 개념은 씁니다만 정확하게 정의는 잘 모르고 씁니다. 저도 경제학 전공자죠) 위에서 문제는 그게 아니라, 우박사의 경우 둘을 같은 의미로 쓴 겁니다.

결론적으로 간단히 말하자면, 윗분 정의가 정확하다면 전부 수렴점이라고 썼어야 맞는데, 엉뚱하게 고정점이라는 말을 (생각없이) 써 버린 겁니다. 윗 글의 문맥을 보면 이건 명확한 겁니다.

"특정 지점으로 수렴하게 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런 끌개와 같은 고정점들이 " 라고 합니다. 여기서 '이런'은 말할 것도 없이 '수렴하는 특정 지점'을 지칭하는 것이겠죠?

295 2008-02-25 14: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난 우박사의 글쓰기가 굉장히 전략적으로 괜찮다고 생각해요.
저는 우박사에게 정갈한 글쓰기나 이론적인 어떤 것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거든요.
예를 들면 정말 아카데미아에서는 이렇게 미친듯이 변화하고 질주하는 세계에 대해서 기술할 언어 조차 갖추고 있지 않은데(사스키아 사센이 이렇게 말했었죠) 우박사는 재빠르게 그것을 포착해서 어떻게든 언어로 만들다 보니깐 거칠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재빠르게 스케치에서 나타나는 까끌까끌함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글쓰기를 쉽게 생각하거나 그가 아직까지 2류 학자이거나 그래서 그런 것 같지는 않아요. 그저 지금 같은 상황에서 문제를 제대로 포착하고 설명해내는 그의 글쓰기가 저는 굉장히 맘에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