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운 가난이 온다 - 뒤에 남겨진 / 우리들을 위한 / 철학 수업
김만권 지음 / 혜다 / 2021년 1월
평점 :
4차 산업혁명, 팬데믹, 신자유주의, 로봇화, AI, 실업률, 부의 불평등, 플랫폼... 미래를 일컫는 단어들이다. 이런 단어들을 들으면 막연한 불안감에 떨게 된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고 고민이 들기도 한다.
그런차에 <새로운 가난이 온다>라는 책을 만나게 되었다.
사실 읽기전에 제목만 보고는 그렇고 그런 미래에대한 불안을 부추기는 책인 줄 알았다. 그런데 목차를 훑어보니 꼼꼼하게 내가 궁금했던 것에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프롤로그를 읽어나가며 드는 생각...
'아니 이 책 왜 이렇게 따뜻하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마음만 조급하게 만드는 책이 아니라 세상이 왜 이런지, 왜 이런 구조로 바뀔수 밖에 없는지 현실을 직시 하게 만들면서 어렵고 종말은 다시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연대"를 외치지는 않치만 우리 평범한 우리가 열린 세대를 위해 나가자고 말하는것 같다.
풍요로운 세대에 먹을거 입을거에 대한 걱정은 없지만 우리는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으로 인해 더 가속화되고 보여지고 있는 자본주의의 민낯을 마주해야 한다. 일자리에 대한 불안을 더 커지고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갈망 만큼 좌절과 힘듦속에서 몸부림 치고있다.
이것에 대한 작가는 과거의 역사를 예를 들며 새로운 산업혁명이 일어날때마다 사람들이 일자리를 빼앗길까 봐 불안에 떨며 거부했던 새로운 기술들이 오히려 더 많은 일자리와 풍요로움을 가져왔음을 상기시킨다. 또한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도 우리가 무엇을 두려워 하고 있는지 제대로 직시 하게 만들어 준다.
인간처럼 생각 할 수 있는 기계라면 인간이 그들에게 지배를 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는 거죠, 어쩌면 그렇게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런 두려움은 2차적인게 아닐까요? 스스로 생각하는 기계라고 말하지만, 어떤 기계도 학습원리 없이 움직일 수 없다는 게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이에요(중략)
어쩌면 우리의 두려움은 인간이 서로를 돌보지 않는 존재라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싶어요
새로운 가난이 온다. P29
작가는 우리는 왜 일을 하고 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 하겠 되었는지 또한 자신의 삶을 온전히 자신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며 살아오게 된 배경을 이야기 한다.
이제 시대가 바뀌고 있는 만큼 우리는 새로운 생각의 패러다임을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그는 스위스의 '기본소득주의자'들의 의견을 제시한다.
당신에게 자동화된 세상은 어떤 곳인가? 축복인가? 저주인가? 당신은 앞으로 다가올 세상에서 일자리가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인가? 아니면 새로운 기계가 만들어 낸 풍요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 고민하는 사람인가? 고대사회에서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열심히 일하는 것은 노예의 본질이었다. 왜 풍요의 시대에 우리가 증명해야 하는 것이 그 본질과 똑같은 것 이어야 할까?(중략)
이제 우리는 로봇이 일하는 세계에서 나온 이익을 함께 나누어 가지자, 인류가 만들어 내고 있는 풍요를 개인들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자율적인 노동을 하는데 쓰도록 하자
새로운 가난이 온다. P66
이 책은 너무나 많은 나의 생각의 전환을 하게 하는 콘텐츠 들이 너무 많아 읽으면서 즐겁고 새로운 희망에 싸이는 것 같았다.
위기에 뒤로 남겨지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
새로운 가난이 온다. 마지막 구절
모두 읽어보시길 강추인 책이다.
* 이 책은 출판사 지원으로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