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띠지를 보면 감히 자신의 최고작이라고 이야기하겠다는 요시다 슈이치의 문구.
그만큼 자신있게 쓴 소설이라는 것일까? <악인>이라는 제목과 문구를 보고 관심을 갖게된 책 <악인>
이책은 인간의 내면속에 자리잡은, 우리가 선과악이라 칭해놓은 그 무엇인가에 대해 파헤치고 있다.

줄거리는 살인사건으로 인하여 범인을 잡는 과정, 그리고 피해자와 피의자의 심리상태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단순히 그뿐이 아닌, 인간의 마음속에 자리잡은 '악'에 대해 탐구하게 만든다.
인간의 본성이 악한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따라 악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야할까? 아니, 자신이 저지르는 행동들이 악하다는것을 제대로 자각하지 못한다고 해야할까?

 
미쓰세 고개에서 벌어진 한건의 살인사건.
피해자인 요시노는 죽은채 발견되고, 그녀의 죽음을 둘러싸고 범인이 누구인지와 왜 그러한 사건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장황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피해여성은 만남 사이트에서 알게된 몇명의 남자들과 금전적인 거래를 통해 이해타산적 관계를 가져오며 살아오던 보험외판원, 그녀와 거래를 했었던 소심하지만 나름 성실한 남자 유이치와 그녀의 동경대상이던 게이고,그리고 유이치에게 빠져더리는 한여자 미쓰요....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해 그들의 심리를 엿볼 수 있게끔 하고 있었다.

 

한 소심한 사람이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악해질수 있다는 것을 알게해주는 <악인>은 집에서는 노모와 노부에게 헌신하지만 밖에 나와서는 자신의 마음을 어루만져줄 누군가를 애타게 찾고 그 손길을 그리워하는 유이치가 요시노와 미쓰요라는 두 여성과의 만남을 통해 어떠한 면모를 보여주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와중에서 요시노의 아버지의 소심함과 사람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게이고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바라보면서 독자들에게 인간의 내면에 자리잡은 다양한 성향에 대해 이해하게끔 만든다.

 책을 읽으면서 요시노의 행동이 어느정도는 이해가 갔다. 자신이 처한 현상황보다 나은 상황을 꿈꾸는 것, 그리고 이를 조금 부풀리던 것은 말이다. 하지만 자신보다 못하다 여기는 존재를 가볍게 무시해버리는 그녀의 행동은 이해할 수 없었다.
그 결과가 보여주는 것은 잔인했으니말이다.
또한 자신을 좋아한다는 요시노를  업신여기고 나아가 그녀의 죽음을 우스갯소리로 받아들이는 게이고의 행동...
자신만을 생각하는 현대사회의 수많은 사람들의 모습일 것이기에 머리로는 알았지만, 마음으로 받아들일수는 없었다.

 
뿌린대로 거둔다는 우리네 옛말을 떠올리게 하는 책이었다.

요시노의 죽음이 그녀를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그럴수도 있지', '어떻게 그럴수가 있지?' 라는 두가지 견해가 나올 수 있고,유이치의 행동 역시 그를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순간적으로 그럴수도 있지'와 '어떻게 그럴수가 있지? 순간을 억제하지 못하다니..'
라는 두가지 견해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는 분명 하나지만 독자가 어떠한 견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이책을 받아들이는 관점이 달라질 듯 싶은데 나와 같은 경우에는 전자의 경우였다.
무차별 살인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 살고 있어서일까? 
상대방의 감정을 자극하게 만든 요시노의 행동이 옳지 못했다는생각이 들어서일까? 
어느 생각이건 유이치가 악인으로 변해가는 과정, 그리고 또다른 악인인 게이고와 매스컴, 그리고 익명의 사람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그 모든 것이 본인이 자각하건 자각하지 못하건간에 다른이에게 악인으로 비춰질수도 있음을 알게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