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대한민국 디지털작가상 수상작
권오단 지음 / 포럼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난>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임진왜란의 앞에 일어났던 북방민족과의 다툼에 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국사시간에 쉽게 접하는 단어인 "임진왜란" 그리고 이이의 "십만양병설".... 이에 관한 전초전이라 해야할까...?

이이의 시각을 전면으로 앞세워 위태로운 국가의 모습은 예견하지 못하고 밥그릇 싸움만 일삼는 붕당정치의 모습과 그 결과로 인한 참담함, 그리고 양반이라는 명분에만 앞서 인재를 고루 수용하지 못하는 양반들의 독단과 아집, 허세가 가져온 치욕을 보여주고 있는 책 <난>

 
간략히 살펴보면 오랑캐라 여기며 가벼이 여기던 북방민족의 힘이 커져서 조선의 한쪽을 위협하고, 이를 막기위해 국가에 대한 충성을 지닌 자들과 능력은 있으나 천민이라 괄시받던 두 젊은이의 활약을 다루고 있는 이야기인데 훗날 맹활약을 펼치던 두 젊은이의 신분이 들통나면서 이들을 배려해주고 지지하던 이이의 위치가 위태롭게 되면서 더불어 국가또한 위태롭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물론, 이이가 지지해주던 두 젊은이는 작가가 창조해낸 허구의 인물이다. 하지만 읽다보면 마치 정말 이들이 존재했고, 당시 위계질서만 중시하던 양반들로 인해 이들이 사라진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그 존재감은 대단했다. 읽으면서 지금의 권력층과 당시의 양반층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아무리 능력이 있다 할지라도 학연,지연이 없으면 정치판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없는 현재와 양반이라는 신분이 아니면 능력이 있어도 천대받던 중인이하의 신분들... 어찌 시대가 변해도 이러한 모습들은 같은건지..참 씁쓸했었다.

 

이이의 국가를 위한 충성스러운 외침은 아무리 질러도 메아리에 지나지 않던 현실.

능력은 있으나 대우를 받지 못하던 자들의 안타까운 몸부림.

미래를 내다보기보다는 앞가림조차 하지 못하던 벼슬아치들.

북방에 대한 시각을 달리 보고 있던 어린 광해군.

 

이러한 상황들이 맞물려 훗날 임진왜란 이후 북인의 세력집권과 함께 광해군의 북벌운동의 야심이 나타나게 된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북방민족의 잔인함. 그리고 조선의 무능력함...
당시의 상황을 눈으로 본듯, 그리고 이이의 생각을 엿본 듯 잘 그려내고 있던 책이었다.

역사소설은 어디까지를 진실로 봐야할지 난해한 경우가 많다. 이번 역시, 이이의 입을 빌려 작가의 생각을 전하는것이라 진실과 허구를 잘 구별해야했는데 그냥 모든것을 진실로 믿고 싶었다.
이이의 충성심, 이름만 충성스러운 신하일뿐 간신이나 다름없었던 신하들... 당시의 진실 아니었을까..?
문득 역사에 잘 알려져있는 사실들뿐 아니라 자그마한 존재로 남아있는 사실들도 명확히 알아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들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