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김처선
이수광 지음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왕의 여자라 하면 떠오르는것이 대궐에 널려있는 궁녀들인데 왕의 남자라 하면, 영화의 영향 때문인지 미색을 갖춘 남성이 떠오른다. 공민왕 시대의 자제위를 언급하면...쉽게 이해가 갈까?
그러나 이 책은, 환관....우리나라에서는 별칭으로 내시라 불리우는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왕의 측근이자 벌레만도 못한 대우를 받는 남성..물론 그들중에서도 어느정도의 품을 받고, 궁내에서 자신의 뜻대로 많은 이들을 좌지우지 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인정을 받다가도 한순간에 무시를 당하는 그러한 사람들이었다. 이 책은 제목에서 이야기하듯 김처선이라는 내시를 중심으로 내세워, 그의 시각에서 이야기를 펼치고 있었다.

 

주인공인 김처선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조선 전기의 환관(). 조선 전기 여러 왕을 시종하였으며, 관직을 삭탈당하고 유배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었다. 연산군 때 연산군이 스스로 창안한 처용희를 벌여 그 음란함이 극에 달하자, 극간을 하다가 죽임 당했다.



라고 나오는데, 다음달 (9월)부터 김처선과 왕, 그리고 한 여인의 삼각관계 구도를 선보이는 드라마 왕과나로 인해 더더욱 주목을 받게 된 인물이었다.

 

내 기억속에 자리잡고 있는 내시는 영화 <한반도>에서 고종의 밀지를 받고 옥쇄를 숨기기 위해 이리저리 날뛰는 최종원씨의 모습이었다. 최종원씨가 예전에 드라마에서 한명회의 역할을 감칠맛나게 연기해서 처세술에 능하면서 조금은 비열해보이는 느낌을 갖고 있었는데, 한반도에서 왕과 같이 고민하고, 충언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리가 사람을 바꾼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인지  좋은 군주를 만들어야겠다는 욕망에 사로잡히고, 자신이 생각한 길이 옳다 여겨져 계속 나아가던  김처선이라는 인물을 보면서 자꾸만 한명회와 환관의 연기를 뛰어나게 보여주었던 최종원씨와 비교하며 읽게 되었었다.

 

내시도 사람이고 사내인데, 어찌 큰 뜻을 품지 않으랴.....먹고 살기 힘들어 내시가 되는 이들도 있었지만, 사대부가문에서 자신들의 의지로, 혹은 가문의 번영을 위해 - 왕의 근처에 있기에 오가는 대화를 엿들어 자신의 가문에 전할 수 있고, 간혹 왕이 자문을 구하면 이야기도 하기에 - 들어오는 이들도 있고, 어느정도의 학문은 읽어야하기에 그들도 어찌보면 대단하다고 할 것이다. 사내구실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밖에서는 손가락질 당하고 천한 대접을 받지만, 암투가 벌어지는 궁내에서 왕이나 왕비, 후궁이나 다양한 관리들의 수족이 되줄 수 있고 눈과 귀가 되줄 수 있기에, 그들이 역할이 결코 가볍다고만은 할 수 없었다.

더군다나 책 속에서는 왕비 윤씨는 자신의 세력이 미약하기에 환관인 김처선을 오라비처럼 여기며 그에게 많은것을 의지하고 있었고, 후궁인 정씨는 자신이 왕비가 되기위해 김처선을 싫어하는 또다른 환관을 이용해 자신의 뜻을 펼치려 했었다.

왕과 나...가 아니라 환관대환관의 세력다툼이었다고 해야할까...?

 
제목인 왕과나..이는 김처선이 자신의 뜻을 펼쳐보기 위해, 그리고 왕의 그림자로 살아오던 내시이기에 왕과 밀접하게 연관시키고자 선정한 제목이 아니었을까....아니면, 왕비를 도우면서 왕과 대립구도를 걷기도 하는 자신의 처지를 대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

 
어쨌거나 읽으면서 김처선이 사가에 나와 가정을 꾸리고 사는 7년간의 짧은부분은 읽으며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입가에 미소를 짓게 했었고, 왕비인 윤씨와 김처선의 젊은시절의 이야기는 웃음을 묻어나게 했었다. 그리고 피비린내나는 세력다툼의 이야기는 흥미진진하면서 씁쓸하기도 했었다.
무엇보다도 읽으면서 내시라는 존재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고,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해주는 기회였기에 좋았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