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덜너덜해진 사람에게
릴리 프랭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유쾌함. 황당함. 무기력함.민망함. 분노....
이 책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말들이다.
누군가 이책이 어땠느냐고 물어본다면 대답해주고 싶은...
<너덜너덜해진 사람에게>는 오쿠다히데오의 블랙코미디라 불리우던 <라라피포>와 호시신이치의 쇼트-쇼트 스토리인 <기묘한이야기>,
그리고 유미리의 글들을 합쳐놓은듯한 을 주었다.
현대사회를 실랄하게 비판하는 [대마농가의 신부]나 [사형]
조금은 당황스럽던, 성에 관한 사실묘사와 인간의 갈등을 다룬 [둥근파꽃]과 [오사비시섬]
읽으면서 조금은 머리가 아팠던 [Little baby nothing]나 이책의 제목인 [너덜너덜해진 사람에게] 다양한 상황설정과 예상할 수 없는 전개가 이책의 매력이었다.
 
잠깐 책안의 내용들에 대해 살펴보면,
[대마농가의 신부]는 매력이라고는 없어 도쿄의 남자들에게는 무시당한다 여기는 도쿄여자 다에코가 대마를 생산하는 어느 농촌의 대부호 기이치로와 선을 보는 이야기를, [사형]은 범죄를 저지르기만 하면 죄의 형량에 상관없이 무조건 사형을 당해야하는 사회에서 어떻게 죽어야하는지에 대해, [둥근파꽃]은 육체적 쾌락이 주는 갈등에 대해, [오사비시섬] 역시 육체적 쾌락이 주는 갈등에 대해 남성적인 시각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Little baby nothing]는 무기력하게 살아가던 세 젊은이의 삶에 활력소를 불어넣어준다는 이야기이고, [너덜너덜해진 사람에게]는 짧은 이야기이기에 언급하지 않겠다.
 
6가지의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이야기를 들려준 이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것은 [사형]이었다.
미래에 일어날지도 모를 설정. 언제 죽느냐의 여부는 하늘이 부여한 수명에 따라서이고, '어떻게' 죽느냐가 관건인 사회.
같은 죽음이더라도 잔인하면서 참혹한 방법들로 고통받아가며 죽는것과 쾌락을 즐기다 가는법 중 선택할 수 있다면 어떤것을 선택하겠는가? 특별한 관점을 지닌 사람이 아닌이상 대부분이 후자를 선택하지 않을까...?
<사형>에서는 절도를 저지른 한 소년의 죽음에 대한 재판과 그의 사형방법에 대하여 논의하는 이야기인데, 끝부분을 전혀 예상할 수 없어 매력적으로 다가왔었다. 그리고 소년의 사형방법이 소년에게는 행복한 죽음이겠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그렇지 못할 것임을 변호사의 씁쓸한 뒷말이 아니더라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논란이 되는것이 사형제도이다.
다른이에게 고통과 아픔, 절망을 안겨준 범죄자를 사형시키느냐의 여부.
'죽음'이라는 공포를 주며 한순간에 말끔히 없애버릴 것인지, 아니면 평생을 감옥에서 살게하면서 고통을 받게 할 것인지...
범죄자를 사형 시키는 여부를 또다른 인간이 판단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란...
이 모든것을 가져오는것이 사형이라는 형벌인데, 릴리 프랭키의 책속에서는 사형이라는 것 자체는 이루어지는 필수이되, 그 방법에 대한 다양성을 선보여 독특하면서 놀라웠었다.
 
6가지 이야기는 제각각 나름대로 의미를 담고 있고, 예상할 수 없는 전개를 통해 놀라운 결말을 맺게 만들었다.
6가지 이야기가 모두 만족스럽지는 못했지만, 나름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파악해보기 위해 노력해 보았고, 내 가치관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