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 개의 공감 - 김형경 심리 치유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 마음 속에 꽁꽁 동여매어 놓은 상처가 있을 것이다. 그 상태로 나 자신을 사랑하기는 또 얼마나 힘이 드는지. 그렇게 상처를 가진 사람들이 부대끼고 살다 보면 또 서로가 서로에게 얼마나 많은 상처들을 남기고, 상처를 받는지.
나를 힘들게 하는 어떤 이유를, 나와 나의 인간관계의 모든 문제점의 근원을 발견하는 것은 나의 정신건강에, 또한 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큰 도움이 된다.
많은 이들이 사소하게 생각하는 어떤 일에 지나치게 크게 화가 나거나 마음의 동요를 일으킨다면, 그것이 바로 본인의 컴플렉스일것이다.
보기 싫고, 인정하기 싫고, 죽어도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덮어버리고 회피하고 싶겠지만 그것은 자신을 위하는 일이 아니다. 아이러니하지만, 바로 그것을 마주하는 것, 가장 도망치고 싶은 것에 직면하는 것이 마음의 진정한 평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작가는 이 책에서 그에게 도움을 청하는 수많은 이들의 상처에 공감하며, 비슷한 상처를 이미 겪었고, 그 고통에서 벗어난 경험자로서 언니처럼, 누나처럼, 엄마처럼 상처를 어루만져주면서 그 마음을 다루는 방법을 조심스럽게 알려주고 있다.
소설가로서 심리상담류의 글을 쓰는 것에 대한 약간의 망설임이나 머뭇거림이 '책머리에' 드러나있다.
"저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그녀가 심리학 전공이 아니라는 것, 전문 상담가가 아니라는 것은 우리에게 아무 상관이 없다. 우리는 일상속에서 이미 친구, 가족, 선후배 등 수많은 비전문가들과의 비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삶의 조언을 얻고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
공감해보지 않은 이들의 객관적인 조언은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 그녀가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녀의 책을 읽는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큰 위안이다. 힘들었던 한 해가 끝나가는 요즘 그 동안 수고 많았다고, 다 알고 있다고 어깨를 토닥거려주는 듯한, 마치 크리스마스 선물같이 나타난 고마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