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폴리테이아 총서 1
최장집 지음 / 후마니타스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 서평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최장집이라는 이름은 '역사적 결단'과 떨어져서 기억하기 힘들다. 그 말도 안되는 '역모'사건 이후로 최장집의 이름은 한국 정치학계의 가늠자로 기능하고 있다. 그를 지지하는가, 아니면 그 반대편에 서있는가. 사건 자체가 말이 안되는 모함이었으므로 그를 편가름의 기준으로 삼는 것 자체가 덜떨어진 대한민국의 상징이라는 점을 애써 강조할 필요는 없겠다.

이 책은 그 덜떨어진 대한민국 정치의 현실을 애써서 분석하려는 그의 외사랑으로 시작한다. 정치학의 여러 이론들을 적절하게 배치하며 한국사회를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으로 이해하려고 하지만, 애써서 그럴 필요없이, 이곳은 장미꽃이 피어나지 않는 '쓰레기통'인 것을 겪어본 사람들은 모두 알고있다. 똑같은 넘들이 똑같은 짓을 하면서 영남호남을 갈라 피터지게 이간질을 시키는 그런 곳이라는 것. 무게가 다르고 종류는 달라고 결국 알고보면 그치들의 보수성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도.

우리가 꽃이라 착각하는 그 화려한 민주화의 결실들은 하나같이 해방공간만도 못한 좁은 이념의 한계 속에 정치 엘리트들의 활동공간과 자산을 불려준 그들만의 승리였을 뿐이다. 그 냉정한 현실을 의식하고싶지 않건만, 최장집은 따갑게 지적한다. 그는 오히려 박정희 정권 하에서의 '성공'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경제적 성공이 왜 정치적 권위주의의 성공으로 이어지지 못했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최장집의 이름으로 그의 책을 고른 사람들에게 이처럼 속 쓰린 부분이 어디에 있으랴.

그러나 냉철하게 그를 곱씹고 있으면 해답은 너무 빤하다. 오늘날 보수정당의 치장을 위해 아우라를 넓혀놓은 이념의 스펙트럼 만큼만 한국 정치의 이념성향과 갈등의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면, 정치발전은 의외로 쉽다. 그렇다, 싸움판이 커지고 싸움의 주제가 다양해지면, 똑같은 그치들이 지역을 갈라 민족의 역사를 소모하는 21세기형 파당싸움을 중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양명학도 쓰고 서학도 쓰고, 사문난적을 폐하여야 하는 것이다.

정체되고 타락한 정치를 괴로와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그 정치에 내 이름 석자가 빠진 것을 완강히 항의해야한다. 너와 나의 이름이 하나의 세력이 되고 그 세력이 모여 싸움을 걸어야 한다. 그 흔해빠진 시민사회는 그렇게 형성되는 것이고, 정치는 그렇게 발전하는 것이다. 돌려달라고 할 필요도 없다. 헌법에 보면 우리는 이미 주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