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 이학문선 1
안토니오 네그리 & 마이클 하트 지음, 윤수종 옮김 / 이학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근버스에 지하철을 연이어 타고 서울역에 다 와서 <제국>을 모두 읽었다. 알라딘을 뒤져보니 작년 12월23일이 구매일자로 나온다. 책을 내 손에 놓은지 약 3개월만에 읽은 셈이다. 이 두꺼운 책을 모두 읽었다는 것 자체에 대해서도 엄청난 보람(!)을 느껴야겠지만 나는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 아직 너무 먼 미래의 모습이어서일까 아니면 그 핵심적 개념을 이해하기에 나는 완고한 20세기의 사람이어서일까. 어쨌거나 나는 이 책에서 말하는 것들의 대부분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자인하며 책을 덮었다.

그러나 뭉클뭉클 솟아나는 느낌을 어쩔 수는 없었다. 노동이 바뀌었고 권력이 바뀌었다. 제국은 대중의 저항을 따라잡으며 그 힘으로 생존하고 있다. 저항이 멈추는 순간 제국은 에너지를 잃을 것이지만 그렇다고 그 저항을 풀어놓을 수도 없다. 소통과 힘, 산 노동, 생체권력, 잡종, 기계인간...무기력할 듯한 추상어들은 식탁 위에서 다시 살아나 춤추고 있었다.

부패한 낡은 관행을 무너뜨리며 돌풍을 몰고온 인터넷 모임 노사모, 관료로 시작했지만 한국 영화계를 전 세계에 알리는 진짜 영화계의 따뜻한 아버지로 바뀌어버린 김동호씨, 집에서 회사일을 하던 아버지와 회사에서 내 문집을 만드는 나, 찰스핸디가 주장하는 '코끼리와 벼룩'의 시대... 아무런 관계가 없을 이 사건과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난 나에게는 하나의 궤적으로 얽혀들기 시작한다. 바야흐로 제국이다.

아직 그 모습의 구체성을 인지하기에 너무 많은 것들이 캄캄한 어두움 속에 있긴 하지만, 이제 서서히 새벽이 올 것이고 하나 둘씩 모습을 드러내면 우리 모두 그 자리에 있었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아마 그 때가 되어서야 나는 이 책의 '진짜 서평'을 쓸 수 있게 될 것이다. 그 때가 되기까지는 이 가슴 뭉클한, 이해할 수 없는 감동의 기억만을 간직해야할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