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고대 - 아시아연대총서 5
이성시 지음, 박경희 옮김 / 삼인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바른 지침을 줄 수 있는 좋은 책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렇다면 고대 만들어내기 경쟁을 어떻게 피해갈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는 답이 나온다는 점에서 아쉬운 책이다. 문제는 해석과 상상력을 어디까지 허용해야할 것인가, 근거와 실증을 어디까지 요구해야할까 하는 것인데, 이 점에서 저자는 비교적 상식적이고 객관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 상당히 노력한다. 그렇다고 만들어진 고대의 본 모습을 밝히지는 않는다. 저자의 의도는 '그것이 그런 것이다'를 알려주는데 있으므로.

중국의 입장에서 발해는 변방의 지방정부였고, 한국의 입장에서 발해는 고구려의 진정한 계승자요 남북조시대의 북조였으며, 러시아의 입장에서 자국의 영역에 문화의 흔적을 남긴 다양한 고대 종족국가 중의 하나였을 뿐이라는, 다양한 시각에 대한 해석은 빛나지만 서태지의 노래 '발해를 위하여'를 알고있는 한국인에게 그리 즐거운 결론은 아니다. 저자의 입장에 동의한다 해도, 그러니까 현재의 민족국가 입장에서 고대를 재해석하는 것이 결국 각 국가의 입장에서 고대를 만들어내는 것임을 인정한다 해도 문제는 남는다. 과연 사실은 무엇인가? 고구려가 대한민국의 시조가 아니라 하더라도 과연 호태왕비의 진실은 무엇인가?

물론 저자는 이런 입장을 배제해야만 진실이 보인다는 참 당연한 입장에 서있지만, 근대 민족국가가 국가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는 역사를 개발해내기 이전에도 동아시아 각 민족간의 역사란 존재했다. 그것을 서구적인 민족국가의 개념으로 묶기 이전부터 왕조와 신민의 역사는 존재했으며 결국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그것을 계승하고 있다. 우리는 얼마간 그런 입장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물론 이 말은 저자의 독특한 정체성이 이 책을 저술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동아시아는 여전히 전근대냐 아니면 근대냐 하는 선택 밖에 없어보인다. 역사의 영역에서도 그것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저자의 결론처럼 만들지 않으면 고대는 없어져버릴 것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