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과 김용옥 - 상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쓴 강준만은 글과 말이 잘 구분되지 않는 사람이다. 글을 말하듯 쓰기로 유명한 사람이고 그래서 가끔 그의 글은 가볍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 거기다 엄청난 다작으로도 유명하다. 이 책도 그 '다작' 중의 하나인 셈이다. 지난 잡지와 그 자신이 발행하는 인물과 사상에 발표했던 글과 새로쓴 글을 묶어낸 이 책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그의 단편적인 인물평이 이제 특정한 인물에 대해 한 권의 책이 될 정도로 오랫동안 진행되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그 첫 주제가 세간에 항상 화제를 몰고오는 이문열과 김용옥이라는 점이다. 그 의도가 무엇이었건, 이 책은 그가 썼던 『김대중 죽이기』나 『김영삼 이데올로기』 형식을 크게 벗어나고 있지는 않다. 이것이 지겨워해야할 일인지 아니면 그 일관성을 칭찬해주어야할 것인지는 책을 읽을 독자의 몫이다.

그런데 독자의 몫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강준만이 심심치 않게 주장하듯, 그는 많은 독자와 만나기 위해 많은 책을 쓴다. 또 같은 주제를 가지고 이 사람 저 사람을 평가한다. 만약 독자가 강준만이 추구하는 의도를 안다면 책을 사는 것은 '그를 돕고 행동에 동참하는' 지지선언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이 책은 여기저기서 끌어모은, 예전에 읽었던 글에 새로 쓴 글을 몇 개 추가한 잡서에 불과할 수도 있다. 물론 강준만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는 '인물에 대한 집중적인 비평'이라는 한국에서 보기 힘든 아주 신선한 경험일 수 있다.

이유야 어찌되었건 이 책은 나에게는 정말 기이한 경험이다. 비록 철이 들고 쑥스러운 기억만으로 남았지만 스무 살을 전후하여 신처럼 떠받들었던 이문열과 아주 최근까지 존경과 흠모를 보냈던 김용옥을 당분간 내가 글을 쓰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강준만의 해설로 들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세 사람은 내 인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사람들이다. 오래되었거나 최근이라는 차이만 빼면 그 강도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 신기한 경험을 내가 어찌 마다하랴.

이 책이 주장하는 바를 한 마디로 설명하기는 좀 힘들다. 강준만은 이 책에서 '문화권력'과 '지식폭력'이라는 현상을 설명하려고 한다. 그것을 입증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사례를 조합하는데 독자 입장에서는 그것이 생각처럼 일관되게 정리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뚜렷하게 남는 것은, 이문열과 김용옥이라는 권위주의적 지식인의 문화권력에 대한 정당한 역할과 책임에 대한 추궁이다. 먹은 만큼 토해내고 누린 만큼 비판받으라는 아주 상식적인 요구인 셈인데, 한국사회에서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참 드물다. 그래서 강준만의 정말 시시한 주장이 그 소리를 듣는 사람에게는 '폭력'으로 느껴질 것이 틀림없다. 내 예상에 이문열과 김용옥은 틀림없이 강준만에게 '지적으로 폭행'당했다고 여길 것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