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기원 - 최첨단 경제학과 과학이론이 밝혀낸 부의 원천과 진화
에릭 바인하커 지음, 안현실.정성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부의 기원'이라는 제목은 앨빈 토플러의 [부의 미래]와 비교해 시간적 방향을 달리 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앨빈 토플러의 저작들이 현상계의 "물결"을 읽어내는 방대한 지식의 집적이라면 이 책은 그 물결의 "법칙"을 파고든다. 어려운 말로 천착한다. 그 법칙의 이름은 '복잡계 경제학'이다.


복잡하다는 의미가 주는 난해함과 피곤함에 이 책이 어울리는 점이라고는 그 분량의 방대함 말고는 없다. 그러나 이 두터운 책은 18개의 낱장과 4개의 큰 부분으로 나뉘어 난해함과 피곤함을 털어 내며 놀이공원을 뒤지는 듯한 흥미를 유발시킨다. 물리학과 생물의 진화론이 정치경제학과 경영학에 뒤섞이며 새삼스레 21세기가 지식통섭의 시대임을 실감케 한다.


고전파와 한계학파의 균형경제가 도달할 수 없는 가상의 이론세계였다는 점은 새삼스럽지 않다. 문제는 그 이론을 대체할 현실계 경제학이 있느냐는 것이었다. 저자는 복잡계라는 자연계 진화의 이론을 들이밀며 움직이는 세상에 의식을 가지고 참여한 행위자들의 게임을 말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우연이라 믿어 온 부조화와 격변의 패턴을 해석하는 기반은 복잡계 물리학과 진화 생물학이다.


그리고 진화의 패턴은 물리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에도 적용되는 법칙성임을 입증하기 위해 물리학과 생물학의 가정을 경제학 시험이 통과할 수 있을 것인지를 연역해 나간다. 진보와 혁신, 파괴와 퇴보는 직선적이지 않으며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던 패턴을 보여 준다. 거기에 선과 악은 없으되 분명 변화의 질서가 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인류가 생물로 진화해온 궤적의 흐름과 다르지 않다.

이 얼마나 기쁜 소식인가, 유형이 다른 여러 존재의 현상에 대해 그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결론은 담론을 넘어 기업과 사회에 어떤 의미를 던지는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그래야만 그것은 경제학일 터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생물의 진화와 자기복제의 선택단위인 DNA에 해당하는 것이 사람도 기업도 아닌, 시장에서의 "사업"임을 용감하게 주장한다. 놀라운 주장이다. 그러나 이 은유는 새롭지는 않다. 놀라운 것은 이 주장이 아니라 이 엄연한 사실을 200년 넘게 거부해온 전통경제학을 진리로 믿는 사람들이 지구를 다스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저자가 말하는 전략이나 조직에 대한 컨설팅은 무난하고 금융시장에 대한 다소 전문적인 분석도 읽어 줄만하며 좌우대결을 끝장내는 최후의 결론에 대해서도 덤덤하게 수긍할 수 있다. 저자의 고백처럼, 당장할 수 있는 것은 얼마 전에도 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생각을 바꾸어 복잡계 경제학을 진리로 믿어야만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은 아니었던 셈이다. 


물론 논리적 극단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생각이 잘못된 생각에서 시작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는 것은 중요하다. 저자는 하나의 사상이 사회를 이끌 주류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따지며 복잡계 경제학이 그렇게 되는데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 진단한다. 저자의 소박한 현실전망이 이루어지기 전에 지구 생태계가 복잡계의 법칙에 따라 궤멸하는 것도 사실은 저자가 말한 법칙에 이미 소개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