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 김열규 교수의 열정적 책 읽기
김열규 지음 / 비아북 / 2008년 9월
장바구니담기


그저 보기만 하던 눈이 마침내 읽게도 되었다. ‘보기’만 하는 눈과 ‘읽기’하는 눈, 그건 사뭇 다른 것이었다.…그런데 거기서 그치지 않을 때 비로소 보기는 읽기가 된다. 이렇게 읽기는 그 대상이 무엇이든 ‘그 내면을 보는 것’이다. ‘해석’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46쪽

요즘 유행하는 기호론의 용어를 빌리면 주어진 텍스트(작품)의 의미를 읽을 때 그 텍스트와 관련된 외적 상황이나 외적 조건들, 이를 테면 작가의 경향이나 사상, 해당 텍스트의 시대 배경 등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를 ‘콘텍스트context’라고 부른다. -134쪽

읽다 보면 이 지경이다. 지겹고 고깝고 넌더리가 난다. 독자라면 누구나 읽을까 말까, 마음을 잡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책 읽는 사람은 이 때문에 작품에서 눈을 떼서는 안 된다. 느긋하고 차분하게 소설을 따라가야 한다. 요컨대, 하품을 토하듯이, 아니면 산책이나 하듯이 유유자적 해야 한다. -213쪽

재미가 먼저다. 신명이 앞서야 한다. 교양이니 지식이니 하는 그 고상한 소득은 나중 문제이다. 흥청거리는 게 독서의 제일보이다. -2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