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맹자 ㅣ 동양고전 슬기바다 2
맹자 지음, 박경환 옮김 / 홍익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
군자임과 동시에 군자의 사상과 행동을 좇는 맹자는 “원래 군자의 행동을 보통 사람들은 알지 못하게 마련”이라고 말하는 사람이다. 맹자가 말하는 보통 사람이란 “어떤 것을 행하면서도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어떤 것에 익숙해 있으면서도 그 까닭을 알지 못하고, 일생동안 그것을 따라가면서도 도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맹자는 ‘전국시대’를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맹자의 사상과 행동은 전국시대의 산물에 대응한 공자에서 비롯된 유가와 맹자 자신의 문제의식이 결합한 총체일 것이다. 전국시대는 분열과 약육강식의 시대였고, 천하를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빈번했던 시대다. “특히 맹자 당시인 전국시대 중엽은 분열의 국면이 심화되면서 통일의 기운이 생겨나던 시기”였다. 이런 시기에 맹자는 제후국들을 유랑하며 인의로 덕을 실행하는 왕도정치 사상을 유세했으며, 유세 당시 그 위세를 떨치던 양자와 묵자의 사상과 끊임없는 논쟁을 통하여 유가 사상을 전개해 나갔다.
2.
맹자 당대의 전국시대의 사회 체제와 21세기 현대 자본주의 사회 체제는 경제, 사상적인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인과 의, 덕에 대한 전국시대의 현실적 외면은 자본주의시대의 인간 존엄성의 외면과 닮았고, 전국시대 부국강병의 논리는 지정학적 국경과 민족, 관습으로 나뉘어 있는 나라들이 각자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신자유주의 논리와 다르지 않다. 전국 시대 당시의 법가, 종횡가 계열의 인물들이 군주의 곁에서 부국강병의 논리에 따른 세금 수탈과 전쟁을 통한 이익 추구를 부추긴 것 또한 어찌되었든 자본주의시대 패권을 잡고 있는 미국의 ‘침략전쟁’과 ‘전세계의 우경화’와 같은 맥락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3. 현대 자본주의 사회체제에서는 신자유주의 논리에 의해 현실적 쓸모가 없는 가치들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소외당하고 있다. 이를테면 인간의 존엄성, 소수의 권리, 덕이 있는 인간관계와 만남들이 그것이다. 맹자 당대 또한 제후들에게서 맹자가 들은 “좋은 말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말도 자본주의 사회체제의 현실적 쓸모의 논리와 다르지 않다. 여기에 맹자는 어찌 인과 의에 의한 덕이 아니라 당장 눈앞에 있는 이익을 말하는 것이냐고 반문한다. 결국 공자에서 비롯된 유가 사상은 “한대에 최초로 여타의 학파를 물리치고 통치이념으로 채택된 이래 청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다소의 기복은 있었지만 가장 영향력 있는 자리를 지켰”다고 한다. 이로써 역사적인 반증이 이루어졌다. 현재 눈앞에서 소외당하고 있는 것들도 이후엔 얼마든지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역사적 반증.
4.
현대 자본주의 시장 경제 논리가 지배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맹자처럼 소외당하고 있는 것들의 가치에 대한 의문을 가져야 한다. 맹자도 《맹자》에서 왕도정치를 받아들이지 않는 제후들에게 “슬프도다”라며 우는 소리를 하곤 했다. 그러나 끝까지 신념을 지키고 “인이 불인을 이기는 것은 물이 불을 이기는 이치와 같다. 그런데 오늘날 인을 실천하는 사람들은 물 한 잔으로 수레 하나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는 것과 같다. 그러고서 불이 꺼지지 않으면 물은 불을 이기지 못한다고 말한다”고 말하며 “천하에 도가 있으면 그 도를 자신의 몸을 통해 실천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도를 추구하여 자신을 희생한다. 나는 자신의 도를 희생해가며 남을 따랐다는 것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 각자의 신념을 잃지 말고 세상의 가치가 무엇인지 돌아보고 반성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