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 도쿄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청년의 전기 중 6일, 6일 중 일부의 서사를 댕강 잘라냈다. 한 청년의 삶 속에 다양한 삶의 방식과 역사가 소리 없이 피상적으로 묻어있다. 피상적이지만 일상적인 그래서 모두가 공감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삶의 방식을 보여 준다. 일상적인 것은 진부함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 소설에서 주인공 히사오의 서사 전개는 진부하다. 원하지 않지만 대학에 입학 ‘하고 싶고’, 경제적 어려움으로 대학 중퇴, 다시 원하지 않는 회사에서 그럭저럭 참아가는 삶. 어느새 그럭저럭 견뎌낸 삶은 일상이 되었고 적당한 것에 만족할 수 있게 되었다.

진부한 서사,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통해 역설적으로 현재를 살며 이 소설을 읽을 젊은 청년에게 자신의 젊음을 어떻게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고민할 수 있게 한다. 거기다 고민 해결에 도움이 되라고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젊다는 건 특권이야. 자네들은 얼마든지 실패해도 괜찮다는 특권을 가졌어.”

“실패가 없는 일에는 성공도 없어. 성공과 실패가 있다는 건 참으로 멋진 일이야. 그거야말로 살아 있다는 실감이란 말씀이야!”

젊음은 흔히 속도에 비유되곤 하는데 아주 적절한 비유라고 생각한다. 해보고 안 되면 마는 것, 그것이 젊음이다. 이것저것 부딪쳐서 깨지고 멍들어도 깨진 곳이 다시 붙고 멍이 사라지는 것, 그것이 젊음이다. 젊음을 젊음답게 살지 못하고 대다수의 젊음들이 남의 욕망과 사회적 틀 속에 사로 잡혀 원하지 않는 삶을 마치 자신의 사명인양 살고 있다. 젊었을 때의 꿈들은 나이가 들어 ‘기성세대’라고 불릴 때쯤엔 깊은 밤, 술과 함께 식탁에 올라온 안주가 되어 씹어 삼키게 되는 것이다. 젊음이 실패한다는 건 남의 욕망을 살아주지 않는 것이다. 기껏해야 대학 재수 입학과 중퇴를 인생의 실패라고 한다면 굉장히 슬픈 일이다. 그만큼 사회적 틀이 대다수의 젊음을 한 가지의 가치로 은연중에 억압하고 있는 것이다. 젊음은 이런 교묘한 사회의 억압을 깨고 나와 부딪쳐 봐야 한다. 그래야 기성세대가 되었을 때 젊음에게 사회적 억압의 가치를 강제하지 않게 될 것이며 자신 또한 후회하지 않는 삶을 행복하게 살아갈 것이다.

“젊은 놈이 평론가 같은 거 되어서 뭐해? 저기 객석에 앉아서 남이 하는 일에 이러쿵저러쿵 토를 다는 건 노인네들이나 하는 짓이야. 젊은 사람은 무대에 올라가야지! 못해도 상관없어. 서툴러도 상관없다고. 내 머리와 내 몸을 움직여서 열심히 뭔가를 연기하지 않으면 안 돼!”

젊음의 가장 큰 매력은 모든 걸 빨아들이는 스폰지 같은 소통력과 감수성, 상투적인 것을 혐오하고 진보를 추구하는 건방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