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 & Free - 자기를 찾아 떠나는 젊음의 세계방랑기
다카하시 아유무 글, 사진, 차수연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여행기는 기본적으로 어떤 구조를 가져야할까. 여행기라는 장르는 논외로 두고 책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책이라는 매체는 독자를 배려하는 것이 기본이다. 책을 구입하는 데 돈을 지불하는 건 독자고, 읽는 것도 독자다. 적어도 책은 이런 기본 의식과 의무를 갖추어야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Love&Free》는 전혀 독자를 배려하고 있지 않다. 그저 여행 중 노트에 감상적으로 끼적거린 몇 줄을 전혀 인상적이거나 낭만적이지 않은 사진과 어이없이 배열해 놓았다. 과연 이런 개인적인 끼적거림이 어떤 독자에게 어떻게 울림을 줄 수 있을까. 초등학생이 읽고 이런 제멋대로인 사람도 있으니 나도 내 주관을 갖고 살아야겠다라고 생각하는 것 이외에 기대할 수 있는 게 없어 보인다. 일기장인데 전혀 자신에게 충실하지 않은, 어떤 사유의 깊이도 느낄 수 없는 일기장을 읽는 것처럼 가볍고 어떤 울림이 없다. 저자의 제멋대로인 삶이 이 책의 전부라고 할 때 이 책은 저자 소개의 특이한 삶을 사는 그것 이외의 가치를 볼 수 없다. 비슷한 구조를 가진 책 《스위스 디자인 여행》, 《박훈규의 언더그라운드 여행기》, 《On The Road》, 《에코토이, 지구를 인터뷰하다》,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과 비교할 때 책값이 아까워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