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의 고통 ㅣ 이후 오퍼스 10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타인이라 하고 몸이나 마음의 괴로움과 아픔이 고통이라 할 때, 타인의 고통은 다른 사람의 몸이나 마음이 괴롭거나 아픈 것이라 할 수 있다.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짚어낼 수 없지만 더 이상 텔레비젼 뉴스나 신문, 잡지에서 고통스럽고 잔인한 사진을 보아도 얼굴을 살짝 찡그리는 것 이외에 별다른 느낌을 받지 못하게 된지 오래고 사진들이 사람들의 감수성을 얼마나 무디게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진부해져버린 시대가 됐다. 여기서 말하는 무뎌진 감수성은 집안에서 조용히 책만 봐도 느낄 수 있다. 하루에 한 번쯤은 삐용삐용 구급차나 소방차가 싸이렌을 울리며 지나가는데 그 소리에 자신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생각해보면 얼마나 타인의 고통에 대해 자각하는 감수성이 무뎌져 있는지 새삼 느낄 수 있다. 이렇게 무뎌진 감수성에서 내 고통이 아니라 타인의 고통을 대하는 사진가와 대중의 반응과 사진을 쏘는 행위, 이 책 <타인의 고통>에서 수전 손택이 주장하는 바를 살펴보자.
종군 사진가는 전쟁 지역에서 전투하는 특정 군대를 따라다니며 사진을 찍는다. 종군 사긴가가 찍은 사진 중에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지게 되는 사진을 대개 우연히, 급하게 찍은 죽어가는 사람의 모습이다(타일러 헉스의 [처형당하는 탈레반], 로버트 카파의 [어느 공화군 병사의 죽음], 에디 애덤스의 [처형 당하는 베트공 포로]). 이런 사진을 보면서 ‘사람이 죽어가는 순간에 사진을 찍는 게 사람으로서 할 짓인가’란 의문을 품는 것은 어렵지 않다.
내 생각에 종군 사진가가 전쟁 지역에서 사진을 찍으려면 몇 가지 합의가 필요하다. 사진기를 들고 있는 사람은 양 진영 모두 죽이지 말자는(터무니없는) 합의와 전쟁을 미화시키려는 군대의 사진가 고용이다. 전자는 말 그대로 터무니없고 후자는 역사적으로 빈번한 사실이다. 쉽게 말해서 종군 사진가는 역사적 기록을 담당한 중립의 보호 대상이거나, 특정 군대의 소속이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군 사진가는 전쟁 지역에서 실제 전투를 찍거나 전쟁의 주체인 양 진영 모두의 입장에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 종군 사진가도 목숨이 하나인 인간이기 때문에 한 쪽의 보호를 받으며 연출하거나 연출된 사진을 비교적 안전한 장소에서 찍을 수 밖에 없다. 이런 사진가의 입장을 이해하고 나면 사진가의 상충되는 이중심리와 인간으로서의 윤리에 대한 답이 모호해진다.
총에 맞아 쓰러지는 사람의 사진을 찍는다고 할 때 종군 사진가가 할 수 있는 일은 찍는 일 뿐이다. 종군 사진가는 총에 맞는 사람을 총에 맞지 않게 구할 능력도, 자신이 대신 총에 맞을 능력도 없다. 다만 사진을 찍는 순간에 기록으로서의 고발과 예술로서의 사진에 대한 욕망만이 종군 사진가의 머리를 채우고 있을 것이다.
이런 사진가의 행동을 부추기는 근본적인 원인은 경제학적인 수요와 공급으로도 살펴볼 수 있다. 사진을 보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나체를 보려는 욕망처럼 겪어보지 못한 처참한 상황을 타인의 고통으로, 스펙터클로 소비하고 싶은 것이 대중의 욕망이다. ‘나는 아니다’라는 안도감과 ‘나는 상관없다’는 무고함, ‘안타깝다’는 연민의 감정에서 자라나는 욕망이다. 그 대중의 욕망은 욕망의 갈증을 해갈해주는 언론기업을 먹여 살리고 정부의 이데올로기를 확고히 하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언론기업과 정부에 고용된 사진가는 고통스런 사진을 접하면 접할 수록 엷어지는 대중의 감수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잔인하고 끔찍한 사진을 연출하게 되기도 한다.
“1930년 에른스트 윙거가 관찰했듯이 저 뛰어난 전쟁의 미학을 갖추지 않은 전쟁은 존재하지 않는다. 카메라와 총, 그러니까 피사체를 ‘쏘는’ 카메라와 인간을 쏘는 총을 동일시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전쟁을 일으키는 행위는 곧 사진을 찍는 행위인 것이다. 윙거는 이렇게 썼다. “위대한 역사적 사건을 매우 꼼꼼히 보존하려는 행위와 자신이 지닌 무기로 적들의 위치를 정확히 몇 초, 몇 미터 단위까지 추적해 그들을 섬멸하려는 행위는 모두 똑같은 사고방식에서 수행된다.”
사진을 ‘쏘는’ 행위는 정말 총을 쏘는 행위와 같다고 할 수 있을까? 사진가가 총을 쏘는 사람의 군대에 고용된 사람이기 때문에? 그 순간에 총에 맞는 사람을 방관했기 때문에? 총에 맞은 사람을 사진으로 대중에게 보여줌으로써 죽은 사람의 형제자매가 사진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관념적으로 죽은 사람을 두 번 죽이는 행위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사진을 쏘는 행위와 총을 쏘는 행위는 편집증적인 생물학적 집착에서 비롯한 공통점이 있다고는 할 수 있지만 실재로 총의 무력 앞에 불가항력인 사진가를 총 쏘는 사람과 같다고 하는 것은 틀렸다. 사진가와 총에 맞는 사람 사이엔 총알이 지나다니는 공간이 있다.
수전 손택은 이 책에서 전쟁으로 인한 참상을 담은 사진에 대해서부터 자신의 주장을 전개해 나가는데 그의 주장이 명확하지는 못한 것 같다. 쉽게 와 닿지 않고 모호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종군 사진가에 대한 입장이 그렇고 사진을 보는 대중의 행동에 대한 입장이 모호하다. 현실을 진단하는 실증적 입장과 변화의 대안을 제시하는 규범적 입장 사이에 손택의 주장이 있다. 사진가의 불가항력처럼 손택의 주장도 어중간할 수밖에 없는 걸까?
결론적으로 사진을 보는 대중은 “그들이 겪어 왔던 일들을 전혀 겪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사진 속 처참한 상황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특권을 누리는 우리와 고통을 받는 그들이 똑같은 지도상에 존재하고 있으며 우리의 특권이 그들의 고통과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숙고해 보는 것, 그래서 전쟁과 악랄한 정치에 둘러싸인 채 타인에게 연민만을 베풀기를 그만둔다는 것, 바로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과제다”라고 수전 손택은 말한다. 일차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실재를 명확히 보고 행동하자는 비평가다운 목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