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이러 갑니다
가쿠타 미쓰요 지음, 송현수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죽이러 갑니다>는 일상에 자리한 증오와 살의를 소재로 한 소설이다. 총 7개의 단편에 학창시절 선생님, 남편, 헤어진 남자친구, 딸, 바람피운 남편, 배신한 여자친구, 일상적으로 만나는 사람들에 대한 학창시절의 증오가 차례로 담겨 있다.
왜 단편인가?
각 단편에 등장하는 이들은 모두 일상에서 함께 생활하고 그렇기 때문에 빈번히 부딪히는 존재다. 그리고 한 번쯤 살의까지는 아니라도 “정말 짜증난다”거나 “없어져버렸으면 좋겠다”는 감정을 느낀 적 있을 법한 사람들이다. 이런 감정들에 ‘왜 이 소설은 단편인가?’란 물음에 대한 답이 있다. 일상에 자리한 증오와 살의를 보여주기 위해선 일상의 여러 상황이 주제가 되어야하고, 그 상황이 독자에게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누구나 증오와 살의를 안고 살아간다’를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인물(실생활과 마찬가지로)이 등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회의적 결말
7개의 단편 모두 회의적인 결말을 맺고 있다. 결국 증오와 살의도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 감정 자체가 들쭉날쭉할 수밖에 없고 실행에 옮긴다 해도 달라지거나 해결되는 건 없다는 가쿠타 미쓰요의 시각이다. 이런 회의를 느끼는 순간 다시 자기에 대한 연민과 증오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도망가고 싶은 것은 개가 아니라 그 소심함이며 코딱지만 한 선량함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에 버리면 될까? 산 속에? 공원에? 빌딩 지하보도에?”
결말을 확실히 맺지 않는 여운을 남기는 구조와 가쿠타 미쓰요 자신의 소설에 대한 시각을 서문이나 인사말에 남기지 않은 것도 회의적인 감정을 배가를 위한 것이 아닐까? 결말은 독자에게 남겨두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독자에게 묻는 ‘소설의 역할’을 하고 있다.
**
두 가지 아쉬운 점은 일상의 소소하고 독특한 재미를 살리지 못했고 문체가 싱겁다는 것. 쉽게 읽을 수 있지만 글의 구조나 수사를 파고드는 재미는 없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