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
피터 드러커 지음, 권영설.전미옥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3월
평점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에 대한 단상
온오프라인에서 경영‧자기계발로 분류되어 있는 서적들은 무조건 무시하고 쳐다보지도 않는다. 얄팍한 상술로 갈겨쓴 제목과 부제가 역겹고 주머니 사정이 안 좋은 이들과 성공가도를 달리고 싶어 하는 젊은이들의 심리를 살살 건드려 쓸데없는 잔소리만 명령조로 반복하는 책을 하루 일당 5분의 1가격에 판매하는 게 그렇게 만들었다. 그리고 보통 이런 서적은 자연을 자원으로 인간만이 발전하는 진보적인 생명으로 묘사되는 것 같아 읽는 내내 불편하다.
우연한 기회로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을 얻었고 <빌 게이츠@생각의 속도>를 읽고 같은 부류의 책에서도 ‘취사선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있다 싶어, 독서 시야를 넓혀보자고 읽게 됐다. 물론 읽은 후의 소감은 불편하지만 긍정적이다. 피터 드러커가 언급하는 기업을 개인인 나로 생각하고 읽으면 내 삶의 계획을 세우는 데에 필요한 원리들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피터 드러커의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일 순 없다는 입장이다. 비판적 수용이다.
정치, 사회, 경제적 입장과 사상을 배제하고 보려 노력했지만 피터 드러커가 말하는 ‘혁신적인 기업가 정신’은 중산층 가정에 백과사전을 판매한 윌리엄 벤튼 만큼이나 어리석고 역겨운 부분이 있다. 중산층에 대해 마음대로 정의내리고 그 ‘심리’를 노려 상품을 판매하는 행위는 실제로 그 심리—교육을 통한 신분상승의 꿈—가 현실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비윤리적이고 일회적인 이기심의 발현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중산층 가정에서 공부하는 자녀에게 백과사전을 사준다고 중산층이 상류층이 되는 것도 아닌데다 만약 그 자녀가 출세했다하더라도 그 ‘백과사진’ 덕은 아니기 때문이다. 애초에 광고의 심한 과장을 소비자들이 알아서 걸러 듣고 봐야한다면 광고 자체가 무슨 쓸모가 있을까 싶다.
한 온라인 서점 서평들을 살펴보면 모두 피터 드러커에 대한 칭찬 일색에 그의 책을 만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영광이라고 하는데 과연 피터 드러커의 책을 그런 식으로 읽은 사람들이 후에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두렵다고 하면 이 시대의 무자비한 광고만큼이나 과장된 발상일까. 입장, 사상이 달라도 누구나 먼저 역지사지할 수 있다면 발전적인 대화와 실천이 가능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