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토벨로의 마녀
파울로 코엘료 지음, 임두빈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아 찾기의 대중성

“마음속에 품고 있는 공통된 질문을 이야기하는데 제 책이 도움을 줍니다.” 파울로 코엘료가 연금술사를 비롯한 자신의 저서들이 다른 문화권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유에 대답한 내용 중 일부다. 과연 그렇다. <포르토벨로의 마녀>한 권만 보더라도 배움, 가르침, 사랑, 행복, 외로움, 움직임, 믿음 같은 일상에 대한 성찰과 질문이 담겨 있다. 셰린 칼릴(아테나)이라는 ‘소설 속 현실’엔 등장하지 않는 인물과 함께 의문을 품고 하나하나 배워간다. 그렇기 때문에 읽으면서 자신에게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파울로 코엘료의 대중성이자 매력이다.


타인의 시각

소설의 구조와 그 구조를 뒷받침하는 성찰의 문장이 눈에 띈다. “우리가 누구인지 알아낼 최상의 방법은 타인의 시각으로 우리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실제로 <포르토벨로의 마녀>엔 아테나가 직접 등장하지 않고 아테나의 주변 인물들이 아테나에 대해 털어놓는 구조로 전개된다.


아테나는 무당?

정작 저자가 책을 통해 탐구하고자 했던—파울로 코엘료는 자신의 소설이 탐구 소설은 아니라고 밝혔지만—`신의 여성성’의 탐구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힘들고 낯설어 읽기 힘들었다. 굳이 느낀 바가 있다면 아테나와 아야 소피아 같이 춤을 통해 망아경속으로—저자의 표현을 따르자면 ‘엑스타시’—들어가는 무당의 공통점 정도다. 저자 파울로 코엘료가 무당을 알고 있을까? 모르더라도 무당은 얼마든지 다른 언어로 다른 모습으로 세상에 존재하니 상관없지만. 이야기 속 아야 소피아의 모습은 무당과 너무 닮아 있다.

파울로 코엘료의 다른 저서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에 등장하는 인상 깊은 구절이 <포르토벨로의 마녀>에 다시 등장했다. “정상적인 게 뭐죠?” 정상적인 건 정말 뭘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