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푸른 알약 - 증보판 ㅣ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프레데릭 페테르스 글.그림, 유영 옮김 / 세미콜론 / 2014년 4월
평점 :
에이즈의 실체
매머드가 과학적 영감의 산물이라면 에이즈는 인간적 두려움의 산물이랄까. 에이즈의 실체에 비해 인간이 느끼는 두려움은 굉장히 크다. 나만해도 그렇고 한국의 경우 에이즈 환자가 주변에 흔히 살고 있는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그 거부감과 경멸은 더하다. 에이즈 외에도 실체를 모르고 두려워하는 것들이 많지만. 세상은 실체를 정확히 알고 바로 대처할 때 부당한 차별과 차이에서 벗어날 수 있다.
관계
<푸른알약>은 에이즈에 대한 진심어린 고찰과 주위의 따가운 시선을 직접 보여주지 않지만 페테르스의 심리와 행동, 카티와 그녀의 아들과의 관계, 의사와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카티와의 성관계, 의사-환자 사이의 피해의식과 권위의식 같은 이야기가 그것이다.
나에게 묻는다
그래. 에이즈의 실체를 문서상으로 알았다.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이 에이즈 환자였다면. 과연 난 그를 사랑하는 마음이 지속될 수 있을까. 아마 <푸른알약>의 페테르스처럼 뛰어들어 사랑하지 않았을 거다. 세상에 정상적이고 나와 어울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왜 내가 이런 사랑에 고통스러워 해야되는 거냐고 생각했을 거다.
만화 <푸른알약>
금방 끓여 내 온 따끈따끈한 김치찌개나 갖 잡은 싱싱한 회를 얹은 스시처럼 즉흥적이고 신선한 선, 서사적 흐름과 조화로운 장면 전환이 인상적이고 쉽게 눈에 들어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배경이나 사물을 제대로 알아볼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아쉬운 점은 제목 선정이다. 푸른 알약이 <푸른알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않고 내용 전체를 꿰뚫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