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도 친구일까? - BIB 출판영예상 Dear 그림책
조은영 지음 / 사계절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도 친구인 친구를 떠올려본다. 한때는 친구였지만 그때뿐인 친구들도 많다. 지금도 친구인 친구들과 무엇이 달랐을까.

친구 사이는 참 오묘하다. 여기 이 그림책 친구 사이는 이상적이지 않고 실제적이다. 좋기도 싫기도 한 애매한 마음, 미운 속내를 숨기고 다르게 나가 오해의 관계를 짓는 말, 생각과 어긋나는 행동들을 내숭 없이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이 책의 친구는 나랑 다르기에 끌리는, 거슬리면서도 매혹당하게 되는 아이다. 그렇지만 이 친구와 지내는 일이 말랑몰랑 만만하진 않다. 난 너처럼 살진 않을거야, 비수처럼 꽂히는 말이 먹물처럼 튀며 공격한다. 내게도 이런 말이 있었다. 넌 특별히 잘하는 건 없잖아, 어린 시절 스친 친구의 말에 오래 갇혀왔다. 지워지지 않는 먹물의 위험함을 알기에 그 페이지에서 멈추고 이 친구에게서 멀어져, 도망가라고 외치고 싶었다.
핫핑크와 먹물의 대치가 흥미진진하다. 배신감으로 눈이 뒤집어진다. 관계도 전복된다. 믿었던 게-그러나 그 믿음도 결국 내가 만든 착각- 틀어질 때 관계는 회복되기 힘들다. 진작 정리되어야 하는 것들이 미적지근 시간을 끌다 서로 단물 다 빨고, 빨리고 끝난다. 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 오만 생각이 다 든다.
뭐가 그렇게 미웠을까? 친구의 전화를 피하고 싶어 번호를 저장해두었지만 연락은 오지 않았다. 그 친구인들 다른 마음일까. 피차일반. 내가 받은 상처만 기억하지만 나 역시 상처 주었는지 모른다. 아니 확실히 주었을 것이다. 속내를 다 터놓고 이야기한다고 관계가 나아질까.
오래 같이 손잡고 가야 한다. 그 시간 동안 일일이 구구절절 말하지 않아도, 아니 오히려 말하면 판도라의 상자처럼 수습이 안 될 것이다. 계속 떡볶이를 먹고 같이 웃으려면, 지금도 친구이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어떻게 해야 할까. 두 오징어가 사는 바다로 흘려보낼 것은 보내야 한다. 먹물도 흐릿해지게..

처음엔 뭐지? 황당하고 당혹스러웠다. 자기만족으로 장난치는 어른 전용 그림책인가 했다.
두 번째 읽을 때부터는 당혹감이 감탄으로 바뀌었다. 이 작가, 천재인가? 그림과 내용이 이루는 합, 케미가 기가 막히다. 볼수록 눈이 밝아지는 느낌, 보이는 게 더 많아진다. 내가 단박에 몰랐을 뿐 작가님은 철저히 계산해 절묘하게 배치해두었던 것이다. 발견하는 즐거움이 이러한데 작업하는 즐거움은 얼마나 컸을까. 작가님이 창작의 고통보다 환희에 더 차 작업하지 않았을까. 여기 이 독자도 읽을 때마다 더 낄낄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소영의 친구들 - 제2회 사계절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사계절 아동문고 105
정은주 지음, 해랑 그림 / 사계절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친구 ㄱㅈㅇ도 죽었다. 한참 동안 믿기지 않았고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곳곳에 친구와 함께한 추억이 배여 있어 하루에도 몇 번씩 친구가 떠올랐다. 울컥할 때도 있었고 멍해질 때도 있었다. ㄱㅈㅇ의 장례식에서 ㄱㅈㅇ의 친구들은 울며 ㄱㅈㅇ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이야기했다. ㄱㅈㅇ은 우리 모두에게 특별한 선함이었다. 두루 세심히 살피며 챙기고 돕는 사람이었다.
누군가의 죽음은 사라짐, 없어짐이다. 그가 눈에 보이지 않고 그를 말하는 일이 점점 사라지고 없어진다. 때때로 아무렇지 않게 ㄱㅈㅇ과 있었던 일들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친구들은 가만히 듣지만 순간 분위기가 가라앉고 그래서 이내 떨치려 화제를 돌리게 된다. 점점 잊히지만 그래도 가끔씩 소환하고 환기해야 할 것만 같다. 그토록 오랜 시간 우리와 함께했는데 이렇게 빨리 영영 처음부터 없었던 듯 잊으면, 잊히면 안되지 않을까.
'기소영의 친구들', 이 책을 읽으며 내 친구 ㄱㅈㅇ을 내내 떠올렸다. 책 속 아이들의 먹먹한 마음을 너무 잘 알기에 울면서 읽었다. 작가님은 ‘죽은 소영이는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을까? 친구들은 소영이를 어떻게 기억하길 바랄까?’ 이 두 가지 질문을 붙잡고 썼다고 한다. 소영은 내 곁에 있다 떠난 누군가를 대입해 생각해볼 수도 있고 나 자신을 넣어 생각해볼 수도 있겠다.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고 대비하는 죽음도 고통스럽지만 갑작스러운 죽음은 남겨진 이에게 더한 슬픔이 된다. 어떻게 기억해야 할까. 죽음 이후를 모르니 여기서 애도하고 추모하는 것만이 우리의 몫이겠다. 이 책을 읽는 시간은 못다한 애도와 추모를 채우는 시간이 되었다.
메타유니버스, 지금 여기가 아닌 다른 시공으로 가버린 친구가 그립다. 그는 이곳을 기억하지 못하겠지만 그래서 우리가 그를 기억하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싶기도 하지만 아직 한참은 더 그리워해도 좋지 않나.
어떤 죽음이든 곁에 머물던 이의 죽음은 황망하고 쓸쓸할 수밖에 없다. 어른도 아이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숨기고 아무렇지 않은 척하는 것은 아이를 배려하는 척하나 실은 무시하는 어른들의 잘난 체일지 모른다. 이 책을 매개로 같이 이야기해보고 싶다. 죽음은 멀리 있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별인사 (밤하늘 에디션)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memento mori
memento vivere
오롯이 지금 여기 온마음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별인사 (밤하늘 에디션)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그후로 나도 앤처럼 늘 현실하고 다른 일을 상상해보려고 노력했던 것 같아. 눈에 보이는 게 전부일 수는 없다고, 그럴 리는 없다고 말이야. 그 덕분에 그래도 그럭저럭 살아남아서 여기까지 왔는지도 몰라. 다시 들으니 참 좋네.  - P2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모든 것을 도구로만 여기고 그것의 활용을 고민한다. - P2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