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말하다 - 김영하에게 듣는 삶, 문학, 글쓰기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김영하의 <보다>를 읽은 적이 있다. 하지만 머릿속에 남는 게 없다. 인상적이지도 않았다.

<말하다> <읽다> 까지 3부작을 폈다는 얘기를 듣기만 했다.

지인이 이 책들을 읽어봤는지 묻자, 문득 읽어보고 싶단 욕구가 생겼다.

 

책 읽어주는 그의 팟캐스트를 좋아하고 강의도 좋아하지만, 막상 그의 글은 별로 읽지 않았다.

특히 소설은 왠지 땡기지 않았다.

읽기 시작했어도 끝까지 읽지 못하고 덮어버리는 일들이 생기자, 굳이 그의 소설을 읽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말하다>는 그의 강연과 인터뷰를 글로 써놓은 책이다.

여기에서 그는 자신의 소신과 철학을 풀어놓는다.

이 책을 통해 김영하라는 작가에 한 발 다가 선 느낌을 가지게 됐다.

어떤 마음으로 소설을 쓰는지 조금 알 수 있었다.

그의 소설을 읽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고, <빛의 제국>을 읽었다.

 

모든 소설가들이 그러할까?

김영하는 깨달음, 통찰력을 갖고 있는 작가라고 생각한다.

세바시나 힐링캠프, 테드 등의 강연을 통해 익히 그런 점을 알았다.

글로서 다시 그 이야기를 듣노라니 명확해지는 부분이 있다.

자신의 소신이 무척이나 확실하고, 점점 더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작가이다.

매력이 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남과 그 기쁨을 공유할 수 없고, 그래서 책을 읽는 거라고 그는 말한다.

모든 것이 '털리는' 시대에 누구도 가져갈 수 없는 자기만의 세계를 갖기 위해서 독서를 하는 거라 했다.

책은 혼자만 읽으면 오독할 수 있다고, 그러니 항상 남과 나누어야 한다고 배운 나로서는 의아했지만 위로도 됐다.

그래도 되는구나, 하고.

거기에다 그는 자기가 만나는 실제 사람보다 책 속의 인물들과 아주 깊은 교감과 공감을 했다고 고백한다.

책 속 인물과의 깊은 대화라. 정말 느껴보고 싶은 경험이다.

 

<보다>를 다시 읽어보고 싶다.

<읽다>도 읽고 싶다.

그의 전작들을 모조리 읽고 나면, 그가 강의와 글에서 내놓은 통찰이 또 다르게 들릴 것 같다.

그의 권유를 따르리라.

책속의 인물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실패의 위엄을 배우기 위해서, 감성근육을 키우기 위해서, 소설을 읽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