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고시원 기담
전건우 지음 / CABINET(캐비넷)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시원을 가본 적도 겪은 적도 없지만 TV나 인터넷을 통해 본 그곳은 항상 예민하고 고립된 인상을 주었다. 그래서 고시원 기담이라는 책의 제목을 봤을 때, 유난히 흥미를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공포소설이라고 제목을 적었지만 책을 읽다 보면 공포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장르가 툭 튀어나온다. 이 책이 내세우는 장르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의 답은 작가 후기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독자들이 생각한 장르로 정해라'. 나는 떡을 썰 테니 넌 글을 쓰거라고 했던 한석봉의 어머니가 생각나기도 하고, "거참 장난이 너무 심한 거 아니오?"라고 했던 영화 속 대사가 생각나기도 했다.


 그리고 문득 고시원의 수많은 방만 큼 다양한 사람들이 사는데, 어찌 하나의 장르로 특정 짓겠나 싶었다. 무섭기도 하고 우습기도 하고, 경악을 하기도 했던 모든 시간은 결국 책 속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 때문이었기에 장르를 굳이 정한다면 고시원물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는 게 맞지 않을까.


 그곳에도 사람이 산다며 운을 뗀 작가의 후기 속에는 고시원에 살았던 과거를 짤막하게 적어놨는데, 숨죽이는 방법을 배우고 아픔을 겪었던 시간 그리고 나와 같은 '사람'이 살고 있음을 깨달았던 순간이 적혀있었다. 10년 전부터 구상했다는 고시원 기담은 지금에서야 생명력을 갖게 되었지만 어색하거나 촌스러운 부분이 없는 걸 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사람은 크게 변하지 않았나 보다. 읽을 때는 고시원의 각 방 인물들마다 다양한 내용에 무섭기도 하고 우습기도 하고 경악하기도 했지만 결국은 사람 이야기를 담고자 했던 고시원 기담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낮의 방문객
마에카와 유타카 지음, 이선희 옮김 / 창해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틀에 걸쳐 책을 다 읽었다.

첫날에 2장까지 읽었는데, 어느 책이나 그러하듯이 등장인물과 사건에 진입하는 과정을 그려낸 터라 느슨하게 글을 읽었다.
그리고 다음날에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잡았는데, 정말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글에 빠져 나는 어느새 다지마의 눈이 되어있었다.
내가 본 게 글에서 읽은 건지, 영화의 한 장면이 뇌리에 박힌 건지, 경계가 모호할 정도로 사건에 빠져있었다.

아사 사건과 방문판매 살인사건. 이 두 사건의 접점은 과연 무엇일까?
살인사건이라면 아사 사건이라고 불리지 않을 테고, 방문판매로 아사 사건이 벌어지지는 않을 것 같은데 말이다.
쉽게 일어날 수 없을 것 같은 아사 사건. 그리고 쉽게 일어날 수 있을 것 같은 방문판매 살인사건.
그 사이를 좁혀가는 사건의 진행이 꽤나 스릴 있었다.

대학생 때까지만 해도 일본 소설 위주로 읽었기에 오랜만의 일본 소설도 읽는 데에 큰 무리가 없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큰 오산.
사람들의 이름이 헷갈리기 시작하고, 어느덧 이 사람이 누군지 기억이 안 나 왼손에 잡았던 책장을 오른손으로 여러 번 옮겼다.
글을 읽다가 다시 처음부터 읽는 게 문제라고 생각해 엠씨스퀘어를 사용했다던 어느 연예인의 말이 생각날 정도였다.
초반에는 여러 사건과 인물이 나오기에 시간이 걸렸지만,

후반으로 가면서 사건의 중심이 주인공의 주변으로 집중하기에 책장 넘기기에 수월했다.

"사시겠어요? 아니면 살해당하시겠어요?"

갑자기 찾아오는 갑작스러운 공포가 아닌, 집까지 친절히 찾아오는 공포를 쓴 한낮의 방문객이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 하고 싶은 거 다 해
임유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장을 넘길수록 당신도 나와 같음을, 나 역시 당신과 다를 바 없음에 위안과 위로를 받았다.
특히 밤 시간대와 관련된 새벽이라서와 자야 되는데를 보고,

고민과 막막했던 앞날에 한숨만 나왔던 지난밤이 더 이상 외롭지 않게 느껴졌다.
청춘이 길어졌다고 하지만 청춘이 무엇인지, 무얼 해야 되는지, 지금의 나는 맞는 것인지 계속 나 자신에게 물어왔다.
길어진 건 고민과 걱정, 불안감 뿐인 것 같은데, 나의 청춘만 이런 것일까.
그런데 이 책을 읽고 공감을 하면서 위로와 위안을 받았더니 힘이 나는 기분이다.

질문도 답도 아직 끝이 나진 않았지만 내 청춘은 덜 괴로울 것 같다.
지인에게 툭 내밀어도 내 마음을 알아줄 것 같은, 청춘에게 툭 따뜻한 말로 해주고 싶은, '너 하고 싶은 거 다 해'였다.
그리고 앞으로도 내 생각과 같은 네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보여줄 작가 임유끼를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 부자 편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이케다 가요코 지음, 더글러스 루미즈 영역,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두께가 얇다고 만만하게 봤다가 큰코다쳤다. 100명의 마을이라면,이라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제목에 책을 펼쳤다가
생각지도 못한 빈부격차, 기아대책, 사회불평등, 소득불균형, 빈곤 문제 등을 읽게 되어 생각이 복잡해졌다.
그저 이 정도면 행복한 수준이구나,라고 비교했던 지난날의 내가 한없이 부족해 보였던 시간이었다.

73억 명의 사람이라고 했다면 '내가 모르는 어딘가에 이런 사람도 있겠구나, 이렇게 사는구나'라며 간단명료하게 지나쳤을 텐데,
'100명의 마을에, 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 이런 사람과 이런 생활이 있다'라고 생각하니

내 문제가 아니라고 외면하기는 어려운 내용이었다.
아마 작가도 멀리 있는 문제가 아니라 가까이 있는 문제임을 알려주기 위해 세계를 100명의 마을로 나타낸 게 아닐까 싶다.
시대가 지나 인구의 수가 바뀌어 책이 다시 나왔을 때 빈곤과 가난의 문제가 해결되었기를.

그리고 그 해결에 내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들은 모르는 남자들의 심리 - 사랑이 서툰 너에게
이성현 지음, 차상미 그림 / 21세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두꺼운 편도 아니고 페이지 가득 글이 가득 적힌 것도 아닌데,

읽는 페이지마다 추억 하나씩 꺼내들며 공감하니 책이 아니라 사진첩을 본 것 같다.
보면서 피식하기도 하고 맞아맞아,라며 공감하기도 하며 읽다가 문득 액자 속의 남자친구를 보며 말을 건네기도 했다.

'맞니?', '너도 그런 거니?','그랬구나'라며.
특히 CHAPTER2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내용이 많았기에 읽으면서 깨달은 부분이 많았다.

CHAPTER3과 4는 읽어만 두고 이해할 일이 없도록 해야지.
누군가 남자친구가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라며 연애상담을 해온다면 이 책을 조용히 쥐여줘야겠다.

아직 사랑이 서툴다. 이해하고자 하지만 막상 그 상황이 오면 이해가 아닌 오해를 할지 모른다.
그래도 전보다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받았던 사랑만큼 나도 베풀 줄 아는 사람이 되기 위해,

내가 몰랐던 너의 심리를 알고자 책을 읽었고 끝을 보았다.
책은 끝을 봤지만 우리는 계속되기를 바라며.

너를 기다리는 시간에 읽으면 좋은 감성에세이 '여자들은 모르는 남자들의 심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