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과 유진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유진과 유진을 일년여 만에 다시 읽었다. 큰 아이 학교 학부모 도서모임에서 이 달의 토의 책이 된 때문이었다. 토의를 해야 할 것이므로 천천히 그리고 어떤 점이 토의거린인가를 생각하며 읽었다.

 

여섯 명이 모여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중학생 학부모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어 활기차게 토의가 진행 되었다. 엄마들의 모임이니 유진엄마들에 대한 견해와 건우엄마, 두 유진의 친구 소라에 대한 인간형 분석등 자신들의 육아경험에 비춘 경험담들이 진솔하게 오고 갔다.

 

엄마들인 만큼 '사건'에 대한 엄마들이 반응태도에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이론적으로 생각하면 큰유진의 엄마처럼 행동할 것이지만 막상 닥치면 작은 유진의 엄마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작은 유진의 엄마는 유진의 상처를 보는 분노와 자신의 해결 안 된 문제 때문에 딸의 문제에 그렇게 대처했다. 책에 구체적으로 묘사되지 않은 부분까지도 여성과 엄마의 입장으로 세밀하게 상상해주는 애틋함을 표했다.

 

문제해결방법에 대한 나의 자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그것은 직면과 회피이다. 직면은 작은 유진 외할머니가 이야기했듯이 나무의 옹이가 단단해지듯이 상처를 헤치고 들여다보고 아물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회피는 외면하고 그냥 덮어둔 채 피해가는 것이다. 직면하는 인간은 강하고 회피하는 인간은 약하다고 생각한다. 세상엔 약한 인간이 더 많지 않을까. 그래서 이런 책이 필요하고 나오고 회자되는 것이리라.

 

청소년기의 우리 아이들도 아직은 문제를 회피의 방법으로 받아들이지 않을까 한다. 그것은 내면이 약해서이기도 하고 사회가 가족이 친구나 동료가 그들을 그렇게 몰고 가기도 하리라. 하지만 이 시기의 문제점은 자신이 문제를 회피하거나 직면한다는 그런 사실들을 생각해 볼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시기이다. 싫어도 그래야 하는 일에는 고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문제에 맞닥뜨리는 것이 우선이다.  두 유진은 직면하는 것이 왜 필요한가하는 문제를 선명하게 대조해서 보여준다. 내가 직면하는 사람인가 회피하는 사람인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를 알면 내가 어떤 길로 가야 하는지 방향을 잡기도 쉬울 것이다. 나의 회피성에 대해 조금씩 길을 돌려 주기도 할 것이다. <유진과 유진>을 통해 상처를 극복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세상은 어떤 눈으로 보느냐에 따라 어떤 방법으로 사느냐에 따라 색깔과 모양이 달라질 수 있는 곳이다.  이 책이 어른의 입장에선 여린 싹을 어떻게 햇빛 비추고 바람을 막아주느냐에 따라 성장이 달라질 수 있고 아이의 입장에서 어떤 바람이 불어와도 제대로 자랄 수 있는 그런 단단한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