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멸감 -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김찬호 지음, 유주환 작곡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은 좀 지루하게 읽혔다. 새로움이 없었기 때문이다. 평소 생각하고 있던 감정들을 그대로 읽어주는 것 같은 책들은 반갑다. 그런데 그것이 소설이었을 경우, 마음을 달래주고 위로 받는 느낌이 드는데, 사회과학서인 경우 식상하단 느낌을 받는다. 뭔가 모르는 것을 새로 알게 되는 기쁨을 찾는 마음이, 그런 의도가,  있어서인가 보다. 어쨌든 나로선 <모멸감>을 그렇게 읽었다.

 

 모멸감이란 무엇인가? '모멸은 모욕하고 경멸하는 것, 즉 마음으로 낮추어 보거나 하찮게 여기는 것이다. 의도적으로  상대방을 비하함으로써 그러한 대접을 받는 사람이 느끼게 되는 감정이다. 최근의 땅콩 회항 사건과 서울의 모 아파트 경비원의 자살은 모멸감이 만연하는 사회의 단면을 보여준다.

 수치심은 사회가 원만하게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감정이지만, 다른 어떤 속성보다 파괴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한다.  모욕을 쉽게 주는 사회 못지 않게모멸감을 쉽게 느끼는 마음 또한 위험하며, 무시와 경멸을 자주 당하다 보면 수치심이 꼬리를 물로 폭력을 일으키기 쉽다고, 사람들 앞에서 창피를 당한 기억은 세상에 대한 증오와 자기혐오를 불러일으킨다.

 저자는 지금 한국 사회는 분통, 울분, 허탈, 짜증, 설움이 팽배해 있다고 말한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세월호 유가족들의 감정이 이럴 것이다.  19세기 말의 노예선과 이라크 전쟁의 포로학대, 장애인들에 대한 비하를 예를 들며 타인의 인격을 부정하는 풍토는 자신의 존엄성을 훼손한다. 여성, 장애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청소년 왕따나 비만이나 대머리 등의 신체적 약점을 조롱당하는 것은 매우 폭력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런 예들을 들어 비하, 차별, 조롱, 무시, 침해, 동정, 오해로 모멸의 양상을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타인을 아무렇지도 않게 모욕하는 풍토는 사회적으로 형성되며, 무심코 던진 말 한 마디가 눈빛 하나가 모멸감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존중과 자존의 문화를 만드려면 저자는 모욕감수성, 자존감, 회복 탄력성을 키워 스스로 내성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다수의 사람들이 삶의 모든 문제를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자기 계발서들을 읽고 자신을 탓한다. 하지만 우리는 개인 내부로 향하는 에너지를 밖으로 돌려 이 '모멸적인 사회'를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모멸감>이 '삶의 문제'들을 사회적인 맥락에서 짚어주고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것은  유의미하다.  그런 의미에서 <모멸감>은 나의 내면을 단단히 하고 내가 바라는 대로의 사회를 변화 시킬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책임엔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