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도감 - 씁쓸하고 향기로운 야생초의 유혹
아리카와 히로 지음, 오근영 옮김 / 살림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아가씨, 괜찮으면 저를 좀 주워 가지 않을래요?"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귀여운 남자. 불쌍한 그의 눈빛을 차마 외면하지 못하고 하룻밤 재워 준 사야카. 일어나 보니 그는 재워 준 대가라며 눈물 나게 감동적인 아침식사를 차려 주었다. 알고 보니 식물에 관한 한 모르는 게 없는 식물박사에다 온갖 요리에 통달한 재주꾼이었다.

정성껏 차려진 자연식 아침식사 한 끼에 사야카는 그만 덜커덕 동거를 제안하고 말았다. 직장과 집만을 오가며 인스턴트 음식으로 끼니를 연명하던 사야카의 삶은 그날부터 완전히 뒤바뀌었다. 알고 있는 건 그의 이름뿐이지만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사랑에 빠지기엔…. 건어물녀 사야카와 초식남 이츠키의 상큼하고 맛있는 연애가 시작된다.

'씁쓸하고 향기로운 야생초'에 혹해 식물도감인줄 알고 빌렸더니 사랑도감이었다. 저자는 일본인이 가장 사랑하는 여성 작가 1위에다 연애소설의 달인이라고 한다. 중학교 때도 안 읽은 하이틴 로맨스가 이런 분위기지 않을까 짐작하며 책장을 넘겼다. 내용은 위의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상 이하도 아니고, 진지하지도 다이내믹하지도 않았다. 나는 식물이야기 나오는 부분과 그 풀들로 요리하는 부분만 집중해서 읽었다. 우리도 다 먹는 야생초이지만 일본에서는 어떻게 요리해 먹는지 궁금해서다.

 

첫 장에 나오는 닭오줌덩쿨은 우리나라에서는 '계요등'이라고 하는데, 책에서는 아마 한자를 그대로 표기한 듯 계뇨등이라고 나와 있다. 꽃 중앙의 붉은 빛 때문에 '뜸장미'라고도 한다는 건 처음 알았는데 예쁜 이름이다. 계요등의 꽃은 잎에 비해 아주 작은 사이즈고, 자세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꽃이 달린 줄도 모를 정도로 작은 종모양 꽃인데, 책에 있는 단 한 컷의 그림은 실제를 과장했거나 실물을 보지 않고 그린 그림으로 특징을 살리지 못했다.

 

머위꽃과 머위는 봄철 우리네 식탁에서도 환영 받는 쌉쓰름한 봄나물이다.(주인공은 쓰디쓰다고 표현) 우리는 보통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쌈을 싸먹는데, 조림을 하거나 튀김을 하는 것은 이색적이었다. 뱀밥도 먹는 줄은 처음 알았는데, 그 여리고 작은 것을 일일히 손질을 해서 먹는다는 것은 조금은 시간 낭비인듯.

 

달래와 서양갓 또한 봄철 입맛 돋우는 식물이다. 달래장을 만들어 밥을 비벼 먹거나, 서양갓은 생으로 쌈을 싸먹거나 나물로 먹는데, 스파케티를 해서 먹다니. 신선한 발상이다. 돌아오는 봄에는 도전해봐야 겠다. 민들레 개갓냉이 속속이풀은 된장에 무쳐 먹는 나물들이다. 책에서는 민들레는 튀김을 만들어 먹고, 개갓냉이는 나물로, 속속이풀은 참깨를 넣어 무쳤다고 나온다. 개갓냉이는 특유의 맵싸한 맛이 있어 어떻게 무쳐도 맛있고, 속속이풀은 심심한 맛이기 때문에 참깨를 넣어 무친 듯하다. 사실 봄에는 이 세 가지를 두서 없이 캐다가 섞어서 간을 약하게 무쳐 먹어도 맛있다.

 

많이 캐어다가 물김치를 담아도 맛있는 물냉이나, 생잎으로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는 쑥이야 그렇다 쳐도, 호장근이나 쇠비름을 나물로 무쳐 먹는 것 외에 나베요리를 한다거나 하는 것은 새로 알게 된 사실이다. 봄철 들판에 돋는 풀들은 왠만한 것은 다 요리 재료이지만, 샐러드나 나물 정도로만 먹어 왔던 것을 새로운 스타일로 먹어 보기를 시도해봐야 겠다. 이런 소재로 사랑이야기를 쓴 사람도 있는데 요리책으로 읽는 사람도 있구나 라고 생각하는 밤이다. 영화로 나오면 전형적인 일본영화가 될 것 같다. 언젠가..하고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