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의 지혜가 하나씩 15가지 생활과학 이야기 손에 잡히는 옛 사람들의 지혜 20
햇살과 나무꾼 지음, 김혜숙 그림 / 채우리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휴~! 이런 걸 다 여자가 했단 말이잖아.'
길쌈하는 여인의 사진을 보면서 초등학교 3학년 여자아이가 입을 삐죽거리면 내뱉은 말이다. 하하...쬐끄만 것이 그런 것부터 눈에 들어온단 말이지...딱딱할 수 있는 소재의 책인데 아이들은 거부감없이 받아들였다. 저학년용이지만 빡빡한 책 읽기 싫어하는 고학년들에게 권해도 좋겠다.

아이와 함께 책을 보면서 아이에게서 전통을 단절시킨 나의 생활 태도를 반성했다. 김치가 건강식품이란 것을 백 번 책으로 말로 하면 뭐하나...늘 시어머님이 담아서 보내주는 김치만 먹는 우리 집. 어쩌다 김치를 담는다해도 성가시다고 얼씬도 못하게 하는 내가 아이을 데리고 영양가가 어떻네 전통 과학이 어떻네 하는 것은 정말 웃기는 일인 것이다.

아이들과 함께 김치를 담으면서 발효이야기도 해주고 고춧가루는 임진왜란 이후에야 들어갔단 이야기도 들려주면 아이들이 얼마나 행복해 할까. 어쩌다 한 번 가는 박물관에서 초가지붕이며 베틀을 구경하고 온다고 해서 아이 머리 속에 얼마나 오래 기억될까. 그렇다고 박물관 나들이를 자주 할 수 있는 여건도 아니다. 그렇다면 과학적 지식을 돌에 새기듯 아이 머리에 박아 넣으려고 애쓰는 대신 작은 옹기 하나, 집에서 천연 염색한 티셔츠 한장, 뚝배기에 끓여 식탁에 올리는 된장찌게를 생활화한다면 아이는 조상들의 지혜를 머리로 이해하려 애쓰지 않아도 가슴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청년사에서 나온 <우리 조상들은 얼마나 과학적으로 살았을까>는 15가지 생활과학이야기의 고학년 버전이다. 내용이 중복되는 것이 많아 서로 서로 없는 사진을 찾아 볼 수 있어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