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야 누리야
양귀자 지음 / 문공사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누리야 누리야'는 문단의 기성 작가가 예전의 동화를 다시 손 보아 내놓았다는 점에서 박완서씨의 ‘부숭이는 힘이 세다’와 닮은 꼴이다. ‘부숭이’가 부모 밑에서 자라면서 땅힘의 의미를 찾아 여행을 떠난 소년인데 반해 ‘누리’는 반 고아의 신세로 정처 없는 방랑의 길을 떠나야 했던 10살 소녀였다.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면서 ‘부숭이’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에 더 가깝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작가는 ‘누리’와 같은 삶을 사는 어린이들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고 얘기하고 싶어 한다. ‘누리야 누리야’는 서문과 맺음말이 이야기의 시작이고 끝이다. 누리가 엄마를 찾아 집을 떠난 후 대학생이 되기까지 10년간의 여정은 서문과 맺음말에 담긴 애틋한 사연으로 더욱 더 가슴 아리는 ‘이야기’ 가 된다. 10살 누리에게 펼쳐진 운명은 어린 소녀가 맞서 싸우기에 가혹한 것이었지만 결국 누리는 사랑을 ‘나눔’으로써 행운을 ‘누리’게 되는 삶을 살게 된다.

작가가 독자가 알아야 할 주제가 무엇인지 따져 보는 골치 아픈 책 읽기에 앞서 ‘내가 누리였다면 어떻게 했을까?’하고 잠시 생각할 시간만 가지면 된다고 당부했듯이 ‘누리야 누리야’는 가슴으로 읽어야 할 책이다. 그렇기에 어린이들이 책을 읽고 뭉클함을 느끼고 그 뭉클함을 어떻게 ‘나누고’ 살까 고민하고 실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책이다. 장편이라도, 책의 크기가 크며 적당히 삽화가 곁들여 있어 초등 3학년 이상이면 읽을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