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ongs My Country Taught Me
Agnes Baltsa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1997년 1월
평점 :
품절
Agnes Baltsa
유로2004 우승과 2004 아테네 올림픽, 그리고 영화 <트로이>로 인해 최근의 떠오르는 문화적 키워드 중의 하나는 '그리이스'일 것이다. (한가지 더 덧붙이자면 요즘 매스컴에서는 역사학자 하인리히 슐리만과 크레타섬 미케네 유적에 대한 이야기가 종종 방송되고 있다.)
이 앨범을 처음 들었을 때가 중학생 때였으니까, 이 앨범 역시 이미 오래전에 출시된 것 같다. 그런데 최근에서야 간간히 팔려 나가는 주된 이유는 소프라노 조수미가 다시 부른 이라는 곡의 매력 때문일 것이다.
(이 한 곡때문에 조수미의 앨범을 구입하기 보다는 이 곡과 분위기는 비슷하돼, 보다 더 심금을 울리는 곡들로 채워진 이 앨범을 구입해 보기를 권하고 싶다.)
잔잔하게 울려 퍼지는 애잔한 목소리의 주인공은 그리이스 출신의 메조 소프라노 아그네스 발차. 세계적인 오페라 공연무대에서는 낯익은 이름으로 까탈스럽기로 유명한 카라얀(Herbert von Karajan)이 같이 공연하기 좋아했던 몇 안되는 가수 중에 한명이다.(특히 Richard Strauss의 <장미의 기사(Der Rosenkavalier)>의 옥타비안 역으로 유명하다.)
그런 그녀가 클래식의 레퍼토리를 벗어나서 크로스오버를 선택한 것에는 작곡가 Mikis Theodorakis의 영향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이스 대표적 작곡가로 알려진 Mikis Theodorakis는 아르헨티나의 피아졸라, 자메이카의 밥말리와 비견되는 음악가이다. 그의 곡들에 사용된 그리스의 민속악기 부주키는 지중해의 몽롱한 바다빛과 맑고 푸른 하늘을 떠올리게 하고 앨범에 수록된 대부분 곡들의 슬픈 단조의 멜로디는 그리이스 서민들의 아픔이 깃들어 있다.

O Tahidromos(우체부), Ta Trena Pou Figan(떠나버린 열차), To Treno Fevgi Stis Okto(기차는 8시에 떠나네), Varkarolla(뱃노래), Mera Magiou(5월의 어느날) 등...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곡들로 채워져 있다.